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트럼프, 이번엔 경제 대통령?…“모든 권한 이용해 물가 낮추겠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8.15 10:07


USA-ELECTION/TRUMP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사진=로이터/연합)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을 향해 경제 문제에 공세를 집중했다. 그동안 해리스 부통령에게 인신공격을 날리자 오히려 역효과를 냈다는 지적을 인식한 것으로 풀이된다.


연합뉴스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14일(현지시간) 노스캐롤라이나주 애슈빌에서 가진 유세에서 연설의 상당 부분을 물가 문제와 바이든-해리스 행정부의 경제 정책을 비판하는 데 할애했다.


물가와 경제는 유권자들이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하고, 현 정부의 최대 약점으로 꼽히는 현안이지만, 지금까지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를 집중적으로 다루지 않았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본격적인 연설을 시작하기 전 청중에게 이번 유세는 평소와 다르게 경제를 다루는 “지적인 연설"이라면서 “오늘은 우리 모두 지식인이다"라고 말했다.


그는 “그들은 이게 가장 중요한 주제라고 말한다. 난 확신하지 못하겠지만 그들은 이게 가장 중요하다고 말한다"고 거듭 밝혔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물가를 낮추기 위한 구상들을 설명했다.


그는 취임 첫날 모든 내각 장관과 기관장에게 가용할 수 있는 모든 권한을 이용해 물가를 낮추라고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겠다고 밝혔다.


또 미국의 석유와 가스 자원을 개발하고, 전기요금을 비롯한 에너지 비용을 절반 이상 낮추겠다고 약속했다.


그는 해리스 부통령이 석유와 가스 에너지를 폐기하고 셰일가스를 채굴하는 수압 파쇄법(fracking)을 금지할 것이라고 주장하고서 “그녀는 펜실베이니아주에서 이길 수 없다"고 말했다.


해리스 부통령은 2020년 민주당 대선 경선 때 환경 파괴 논란이 있는 셰일가스 시추 기술인 수압 파쇄법을 금지하겠다고 했다가 이번 대선 때 철회했는데 천연가스 산업에 경제를 의존하는 펜실베이니아에서는 수압 파쇄법 허용 여부가 민감한 현안이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그녀의 책상은 대통령 집무실에서 열걸음"이라면서 해리스 부통령이 지난 3년 반 동안 물가를 잡지 않았다고 비판했다.


그는 자신이 먼저 제시한 '팁 면세' 공약을 해리스 부통령이 베꼈다면서 해리스 부통령이 오는 16일 공개할 경제 구상도 “내 계획의 복사본일 것"이라고 공격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유세에서 외국에 “10%에서 20%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그는 이전 언론 인터뷰 등에서 모든 나라에서 수입하는 물품에 1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했는데 이번에는 20%까지 언급한 것이다.


최근 공화당 주요 인사들은 트럼프 전 대통령에게 부정적인 논란만 일으키는 인신공격을 자제하고 공화당이 유리한 경제와 국경 문제 등 정책을 집중적으로 파고들라고 당부하고 있다.


바이든 대통령이 대선 후보였을 때 여유 있게 앞서가던 트럼프 전 대통령이 해리스 부통령의 인종 정체성 등을 겨냥한 무리한 인신공격을 하고, 판세와 무관한 유세 규모에 집착하는 등 방향을 잃은 모습을 보이자 나온 지적이었다.


이를 의식한 듯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이날 모처럼 경제 문제에 집중했지만, 인신공격을 완전히 자제하지는 못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해리스 부통령이 웃는 방식을 조롱하면서 “그건 미친 사람의 웃음이다. 그녀는 미쳤다"고 말하기도 했다.


또 해리스 부통령이 출마 후 아직 언론 인터뷰를 하지 않은 이유가 “그녀가 똑똑하지 않기 때문이다"라고 주장하는 등 경제를 논하다가도 수시로 해리스 부통령을 비방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