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09월 14일(토)
에너지경제 포토

이찬우

lcw@ekn.kr

이찬우기자 기사모음




2년 뒤 ‘중국산 배제’ 기다리는 중인데…트럼프 리스크에 배터리 소재 업계 ‘긴장’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08.27 15:46

트럼프 美 대선 후보 “재집권시 IRA 세액공제 폐지”

‘중국산 저가공세’에 한국 배터리 소재 업계 ‘골머리’

업계 “한국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정책 절실한 상황”

포스코퓨처엠의 포항 인조흑연 음극재 1단계 공장.

▲포스코퓨처엠 포항 인조흑연 음극재 1단계 공장.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재집권시 'IRA 세액공제 폐지' 의사를 재차 밝히면서 국내 이차전지 업계에 먹구름이 끼고 있다.


특히 미국이 2026년 말까지 중국산 흑연 사용을 허가하면서 혜택을 제대로 누리지 못한 국내 배터리 소재업계의 고충이 더욱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이에 업계에선 “타국 정부에 휘둘리지 않게 한국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절실하다"는 목소리나 나오고 있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은 지난 19일 펜실베이니아주에서 유세 후 인플레이션감축법(IRA)에 따른 전기차 세액 공제에 대해 “터무니없는 일"이라며 폐지 가능성을 드러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세액 공제와 세금 인센티브는 일반적으로 매우 좋은 일은 아니다"라며 자신이 백악관에 재입성할 경우 전기차 구입시 세액 공제와 관련한 재무부 규정을 뒤집거나 의회에 관련 세액 공제의 전면 폐지를 요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발표했다.


IRA는 미국에서 생산된 전기차 구매자에게 7500달러의 세액공제를 지원하는 정책이다. 에너지 안보, 기후변화 대응, 건강보험 개혁 등을 내세운 정책이지만 실상은 '중국산 배제' 공급망을 구축하려는 의도가 담긴 정책이다.




IRA 시행 당시 국내 업계와 정부는 '중국산 흑연 허용'을 요청했다. 배터리에 들어가는 필수 원료인데 대부분 종국에서 수입했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 정부는 2026년 말까지 중국산 흑연 사용 제품에도 세액공제 혜탹을 적용했다.


이 결정에 대부분의 업계가 한숨을 돌린 가운데 그렇지 못한 곳도 있었다. 포스코퓨처엠 등 배터리 소재기업이다. IRA로 인해 중국산 공급이 막혀 자사 수요 증가를 기대했지만 2년 동안 또 중국에 밀리게 된 것이다.


포스코퓨처엠은 현재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다. 포스코퓨처엠은 지난 2분기 연결기준 매출 9155억원, 영업이익 27억원을 기록했다. 2분기 영업익은 전년 동기(521억원) 대비 94.82% 감소한 수치다.


이에 대해 포스코퓨처엠은 “주력제품의 판매량이 증가하고 마진율도 지속 개선 중이나, 원료가격 약세로 인해 영업이익 회복세는 제한적이었다"고 설명했다.


포스코퓨처엠과 GM이 합작해 캐나다 베캉쿠아에 건설하고 있는 연산 3만톤의 얼티엄캠 양극재 공장 건설

▲포스코퓨처엠과 GM이 합작해 캐나다 베캉쿠아에 건설하고 있는 연산 3만톤의 얼티엄캠 양극재 공장 건설 현장.

특히 포스코퓨처엠의 음극재 사업이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중국의 저가 공세에 밀리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 따르면 포스코퓨처엠의 음극재 공장 가동률은 최근 50% 이하로 떨어졌다.


음극재 사업 실적도 부진하다. 지난해 2분기부터 500억원 내외의 매출액을 기록하고 있다. 생산능력이 있어도 수요가 적으니 성장을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상황에 더해 '트럼프 재집권시 IRA 혜택 폐지'에 대한 이야기까지 나오다 보니 포스코퓨처엠의 표정은 어두워질 수밖에 없다. 2년 뒤 중국산 배제에 대한 반사이익을 기대했지만 이마저도 장담할 수 없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불확실한 대외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포스코퓨처엠은 사업 경쟁력 강화에 열을 올리고 있다. 특히 포스코 제철소에서 나온 콜타르를 가공해 만든 침상코크스를 원재료로 하는 인조흑연 음극재 생산 비중을 확대하고 있다.


포스코퓨처엠 관계자는 “미국 대권 결과는 예측할 수 없지만 불확실성이 고조된 상태"라며 “현재 북미에 음극재 사업장은 없고 아직 구체적 계획도 없지만 GM과 합작해 캐나다에 양극재 공장을 건설하는 등 현지 진출을 차츰 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일각에선 한국도 미국이나 중국처럼 정부의 지원 정책이 절실하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천연자원이 부족한 지리적 특성 상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이 있어야 중국의 저가공세에 대응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업계 관계자는 “현재 음극재를 비롯한 국내 배터리 소재 사업은 중국에 크게 밀리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를 이겨내려면 한국도 미국, 중국처럼 보조금 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