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사업장 정리와 관련해 속도를 내지 않는 저축은행에 대해 최고경영자(CEO)를 소집하는 등 압박수위를 높일 전망이다. 금융감독원은 경·공매 실적이 저조한 개별 저축은행에 대한 현장점검도 검토 중이다.
27일 금융당국과 금융권 등에 따르면 금감원은 다음 달 1일께 PF 정리 미완료 사업장이 많은 저축은행 CEO를 불러 면담하기로 했다. 대형사 중에는 웰컴저축은행, 한국투자저축은행, OK저축은행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금리인하 기대감에 따라 부실PF 사업장 정리를 지연시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금감원은 CEO면담 이후에도 추가 점검이 필요한 저축은행에 대해 직접 현장점검에도 나선다는 계획이다.
금융권과 금융당국 등에 따르면 경·공매 대상 PF 사업장 12조원 중 현재 1조9000억원(15.8%)규모가 정리 완료됐다. 이 중 저축은행업권 경·공매 대상 PF 사업장 규모는 2조1000억원으로, 정리된 규모는 1800억원이다. 정리 실적이 8%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다.
저축은행과 함께 PF 부실 우려가 가장 컸던 새마을금고는 경·공매 대상 사업장 2조7000억원 중 7000억원(26%)가량을 정리 완료하며 속도 차이가 크게 나타나고 있다. 증권업계는 13.5%로 다른 2금융권과 비교해도 저축은행 실적이 가장 저조하다.
저축은행들은 한국은행 기준금리 인하 등으로 업황이 회복될 것을 기대하며 '버티기 전략'을 쓰고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공공자산 처분시스템 온비드 등에 따르면 저축은행은 입찰가로 대출원금 대비 120~130% 수준을 책정하는 경우가 대다수인 것으로 파악된다. 일부러 가격을 높게 책정해 경·공매에 나서는 시늉만 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금융당국은 평균 대출원금 대비 70% 수준까지 가격이 내려오면 거래가 활발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저축은행들은 실적이 크게 부진한 상황에서 PF사업장까지 헐값에 매각할 경우 건전성이 악화할 것에 대해 우려하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금융당국은 적시에 '환부 도려내기'가 진행돼야 한다는 입장이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최근 출연한 한 방송에서 “저축은행 업계에서 기대하는 향후 2~3배 부동산 가격 상승은 어떤 정부가 되더라도 지금의 가계부채 수준이나 향후 경제성장 동력 측면에서 용인할 수 없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