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12월 12일(목)
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한국전력이 허공에’...4대 금융, 계엄사태 후 시총 14조 날아갔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4.12.11 15:42

계엄 전 4대 금융 시총 100조 육박
일주일새 87조원으로 ‘급감’

환율 변동-정치적 불확실성에
밸류업 프로그램 차질 우려

“연간 순이익만 4조원대”
중장기 영향 제한적 무게

4대 금융지주

▲4대 금융지주(KB, 신한, 하나, 우리금융)의 시가총액은 이달 3일 99조9498억원에서 이달 10일 현재 86조988억원으로 감소했다.

4대 금융지주가 '12·3 비상계엄'사태 이후 일주일 새 시가총액이 13조8000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지주사는 현 정부가 드라이브를 거는 '밸류업 프로그램'의 최대 수혜주로 꼽히며 올해 들어 주가가 가파르게 급등했다. 그러나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 확대로 밸류업 프로그램 후퇴 우려가 나오면서 정부 정책 수혜주인 금융주의 투자심리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1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KB금융, 하나금융, 신한금융, 우리금융지주 등 4대 금융지주의 시가총액은 이달 3일 99조9498억원에서 이달 10일 현재 86조988억원으로 감소했다. 일주일 새 시가총액이 13조8510억원 날아간 셈이다. 13조8510억원은 국내 유가증권시장 상장사 시총 30위인 한국전력 시총(13조7701억원)을 뛰어넘는 수치다. 기업은행(11조6663억원), 우리금융지주(11조6141억원)보다도 큰 규모다.


종목별로 보면 KB금융 주가는 이달 3일 10만1200원에서 10일 8만3200원으로 17.8% 급락했다. 이어 하나금융지주(12.9%), 신한지주(10.8%), 우리금융지주(9.8%) 순이었다. 외국인은 지난 한주동안 4대 금융지주를 포함한 은행주를 3690억원 순매도했는데, 이는 코스피 전체 순매도(5740억원)의 65%에 달한다. 비상계엄 이슈 발생 직후인 3영업일 동안에는 은행주를 약 5050억원 순매도하며 이 기간 코스피 전체 순매도 규모(1조원)의 절반을 차지했다.


금융주는 정부가 추진하는 밸류업 프로그램에 대한 기대감으로 가파르게 올랐지만, 지난주부터 정치적 불안정성이 확대되면서 주가도 직격탄을 맞은 것이다.


12·3 비상계엄

▲12·3 비상계엄 사태 이후 4대 금융지주 시가총액 변동 추이.

특히나 원/달러 환율 급등으로 위험가중자산(RWA)이 증가하면 보통주자본비율(CET1)이 하락하면서 은행지주사의 배당, 자사주 매입 및 소각 등 주주환원 재원도 감소하게 된다. 환율이 오르면 금융사들이 보유한 외화자산을 원화자산으로 환산할 때 그 규모가 커지면서 RWA가 증가하기 때문이다. 결국 보통주자본에 위험가중자산을 나눠서 구하는 CET1 비율은 하락하는 것이다.




일례로 KB금융은 올해 연말 CET1 비율 13%를 초과하는 자본은 내년 1차 주주환원 재원으로, 내년 연중 13.5%를 초과하는 잉여자본은 하반기 자사주 매입, 소각에 활용하기로 했다. 9월 말 기준 KB금융지주의 보통주자본은 467조1480억원, 위험가중자산은 3373조3930억원, 보통주자본비율은 13.85%였다. KB금융은 환율이 10원 등락할 경우 RWA의 변동이 CET1 비율에 미치는 영향은 2bp(1bp=0.01%포인트(p))로 보고 있다.


금융지주사마다 외화자산 관련 헤지(위험회피) 비율에 따라 조금씩 차이는 있지만, 통상 환율 10원 등락시 CET1 비율의 등락 폭은 대략 1~2bp 수준이라는 게 업계 설명이다.


문제는 환율 변동에 따른 CET1 비율이 심각하게 우려할 만한 수준인지 여부다. 금융권에서는 그간 비상계엄 외에도 과거 크레디트스위스(CS) 유동성 위기 등 크고 작은 이벤트를 돌이켜봤을 때 이번 사태가 밸류업 프로그램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이라고 평가했다. 금융지주사들이 최대 계열사인 시중은행의 안정적인 수익원을 바탕으로 연간 4조원, 분기별로는 1조원이 넘는 순이익을 거두고 있기 때문에 환율 상승분에 따른 CET1 변동 폭도 충분히 상쇄 가능하다는 분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분기별 순이익 1조원의 금액이면 CET1 비율이 약 40bp 상승하고, 연간으로 따지면 약 150~170bp 수준"이라며 “환율 상승에 따른 위험가중자산 증가 폭을 금융지주사 수익이 상쇄하는 구조다"고 설명했다.


이어 “과거 여러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도 우리 경제의 회복력이나 강도는 상당히 빠른 편"이라며 “단기적으로는 탄핵정국 혼란이 경제에 영향은 미칠 수 있지만, 중장기적으로 정치적 이슈와 경제 펀더멘털은 별개로 움직였기 때문에 금융지주사들도 외국인 투자자들에게 이러한 부분을 최대한 알리고 있다"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