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겨울 우리나라는 라니냐로 인해 평년보다 변동성이 큰 기후가 예상된다. 한파와 강수량 감소 같은 극단적인 기후 패턴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으며, 라니냐의 강도는 약하더라도 여전히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됐다.
라니냐는 태평양 적도 지역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고, 대기 순환에 변화를 초래하는 자연적 기후 현상이다. 일반적으로 엘니뇨와 반대되는 기후 영향을 미치며, 변동성이 큰 날씨를 유발한다.
12일 기상청은 올겨울 라니냐의 강도가 약하고 지속 기간도 짧을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겨울철 기온과 강수량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전망했다. 전문가도 라니냐가 우리나라 겨울철 기후에 뚜렷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 있다.
김해동 계명대 지구환경공학과 교수는 “라니냐적 특성이 겨울 기후에 더 많이 반영된다. 앞으로 추운 겨울이 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번 겨울은 라니냐적 특성이 12월 하순부터 강해지면서 변동성이 큰 날씨가 2월까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라니냐의 특성은 예상보다는 약하지만 여전히 상존하며, 이는 따뜻한 날과 추운 날이 반복되는 변동성을 특징으로 한다"며 “한파와 폭설이 예상보다 강하게 나타날 수 있는 만큼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에 따르면 2021~2022년 겨울에 라니냐로 인해 영하 18도의 한파와 호남 및 제주 지역에 폭설이 내린 사례처럼, 이번 겨울에도 극단적인 날씨를 경험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라니냐와 같은 자연적 기후 현상은 인간 활동으로 인한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으며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지구온난화는 해수면 온도와 대기 순환의 불균형을 심화시키며, 엘니뇨와 라니냐 같은 현상의 빈도와 강도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라니냐와 기후위기가 맞물리며 나타나는 극단적인 날씨는 점점 더 새로운 표준이 되고 있다.
셀레스테 사울로 세계기상기구(WMO) 사무총장은 “2024년은 엘니뇨로 시작됐으며, 기록적으로 가장 더운 해가 될 가능성이 높다"며 “엘니뇨·라니냐가 없는 중립 상태에서도 극단적인 기상 현상이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고 경고했다.
WMO에 따르면, 현재 태평양 적도 지역은 중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오는 12월부터 약한 라니냐로 전환될 가능성이 약 55%로 예측됐다. 다만, 라니냐는 단기적으로 끝날 가능성이 높고 내년 2월부터 4월 사이 중립 상태로 복귀할 것으로 전망됐다.
셀레스테 사무총장은 “라니냐가 발생하더라도 단기 냉각 효과에 그칠 것이며,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장기적인 온난화 추세를 상쇄하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말했다.
기상청 역시 비슷한 분석을 내놨다. 현재 엘니뇨·라니냐 감시구역의 해수면 온도는 -0.3℃로 중립 상태를 유지하고 있지만, 겨울철 동안 -0.5~-1.0℃ 수준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라니냐 기준(3개월 이동평균 해수면 온도 편차 -0.5℃ 이하가 5개월 이상 지속)에는 도달하지 않을 것으로 분석했다. 기상청은 열대 태평양의 해저수온이 낮은 상태가 지속되고 있지만, 서풍의 강화로 인해 차가운 바닷물의 용승이 감소하면서 라니냐 발달이 지연되고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