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0일 미국 대통령 취임을 앞둔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자율주행차' 개발 규제를 완화할 것으로 전망된다. 시장에서는 자신을 열렬히 지원해준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를 밀어주기 위해서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러한 움직임에 자율주행 기반 '소프트웨어중심차(SDV)' 개발에 전념하고 있는 현대자동차그룹에도 긍정적 영향이 전망된다.
14일 블룸버그 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규제 완화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블룸버그 보도에 따르면 현지 업계 관계자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인수위원회가 완전 자율주행 차량을 위한 연방 틀을 교통부의 우선순위 중 하나로 삼을 계획"이라며 “교통부에서 자율주행차 규제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정책 담당자를 찾고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의 이러한 결정은 '테슬라 밀어주기'의 일환으로 평가된다. 자국의 산업을 발전시키면서 자신의 열렬한 지원자까지 도와주는 '일석이조'의 효과가 기대되기 때문이다.
미국의 현행법 아래선 스티어링 휠이나 페달이 없는 완전 자율주행차는 대량 생산, 운행을 위한 허가 절차가 굉장히 까다롭다. 미국 교통부 산하 도로교통안전국(NHTSA)이 차량 제조업체가 허가를 받아 연간 배치할 수 있는 자율주행 차량의 수를 2500대로 제한하고 있기 때문이다.
트럼프는 취임 후 이를 뒤엎을 전망이다. 실제로 일론머스크 테슬라 CEO를 차기 행정부의 '정부효율부' 수장으로 내정한데 이어 자율주행차 규제 완화를 강력히 주장해오던 전 하원의원(위스콘신) 숀 더피를 교통부 장관으로 선택하는 등 현실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기존 2500대의 자율주행차 개발 제한 대수를 10만대까지 늘릴 것이란 추측도 나오고 있다.
미국의 이러한 움직임에 자율주행, SDV 개발에 몰두하고 있는 현대차그룹에도 긍정적 영향이 기대된다. 물론 트럼프의 정책은 테슬라를 비롯한 미국 기업들을 위한 것이지만 시장이 커지고 기술이 개발되다 보면 현대차 등 현지에 진출한 기업들에도 투자나 지원이 이뤄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자율주행, SDV 개발에 진심을 보이고 있다. SDV(Software-defined Vehicle) 차량은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제어되거나 결정되는 차량'으로 스마트폰이 운영체제를 업데이트하면서 기존 문제를 고치는 방식을 차량에 적용한 것이다.
특히 SDV 전환은 자율주행차 상용화에 필수적인 요소로 꼽히는 등 '미래 먹거리'로 불리고 있어 업계의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세계적으론 테슬라가 가장 앞선 것으로 평가받고 있고 현대차그룹 등 후발주자들도 뒤처지지 않게 꾸준한 투자를 이어가고 있는 추세다.
현대차그룹은 2022년 자율주행 스타트업 포티투닷(42dot)을 인수해 SDV 전환을 선도할 글로벌 소프트웨어센터의 구심점 역할을 맡겼고, 관련한 인력 채용에도 발 벗고 나서고 있다.
최근엔 올해 SDV 개발 등에 11.5조원을 투자할 것임을 발표했다. 현대차그룹은 소프트웨어 내재화를 통해 2026년까지 차량용 고성능 전기·전자 아키텍처를 적용한 SDV 페이스 카(Pace Car) 개발 프로젝트를 완료하고 양산차에 확대 적용하는 것을 목표하고 있다.
또 자율주행차 개발에도 적극적이다. 현대차는 지난해 10월 자율주행기업 웨이모(Waymo)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다. 파트너십을 계기로 양사는 웨이모의 6세대 완전 자율주행 기술 '웨이모 드라이버'를 현대차 아이오닉 5에 적용한 뒤, 해당 차량을 자율주행 택시 서비스 '웨이모 원'에 투입해 운영하는 방안을 추진한다.
웨이모에 공급되는 아이오닉 5는 조지아에 위치한 전기차 전용공장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에서 생산될 예정이며, 현대차는 안정적인 공급 운영을 통해 '웨이모 원' 서비스의 성장을 지원할 계획이다.
송창현 현대차그룹 AVP본부장은 “자율주행 차량 판매 파운드리 사업을 통해 글로벌 자율주행 기업들에게 SAE 기준 레벨 4 이상의 자율주행 기술 구현이 가능한 차량을 공급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