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부의 '기업 밸류업 프로그램' 추진과 함께 상장사 재무제표상 '임의적립금' 계정이 뜨거운 감자로 떠올랐다. 일각에서는 기업이 이익의 상당 부분을 '곳간'에 쌓아두고 주주환원에는 인색하다며 비판의 목소리를 높인다.
그러나 임의적립금에 대한 회계적인 이해 없이 단순히 그 규모만을 문제 삼는 것이 오히려 문제라는 반론도 나온다. 임의적립금의 적립 형태부터 오해가 많다는 주장이다. 규모가 아니라 그 적립 목적의 타당성과 사용 계획의 투명성, 그리고 주주환원과의 균형이 더 중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삼성전자의 지난해 3분기 보고서를 바탕으로 임의적립금의 본질을 들여다 봤다.
삼성전자 임의적립금 219조원…실제 현금 아냐
16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에 따르면 지난해 3분기 보고서 기준 삼성전자의 연결기준 이익잉여금은 365조3595억원이다. 살펴봐야 할 임의적립금은 연결기준으로는 나와있지 않다. 하지만 별도재무제표 주석에 따르면 임의적립금은 약 219조원 규모다.
그렇다고 삼성전자에 현금 219조원이 있지는 않다. 삼성전자는 지난해 3분기 기준 현금 및 현금성자산으로 약 43조1314억원을 보유하고 있다. 단기금융상품(약 60조6166억원)과 합쳐 약 103조원의 가량의 현금성 자산을 보유하고 있다.
임의적립금이 일각의 주장처럼 단순히 '기업 금고에 쌓아둔 현금'이 아니라는 얘기다.
기업은 이익잉여금을 현금, 예금, 유가증권, 부동산, 설비 등 다양한 자산 형태로 보유한다. 임의적립금은 이러한 자산의 일부로 존재하고 있는 서류 상 숫자에 불과하다.
따라서 “주요 상장사들이 이익을 주주들에게 배당하지 않고 '임의적립금'이란 명목으로 곳간에 쌓아두고 있다"는 주장은 회계 원리와 기업의 재무적 의사결정 과정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데서 비롯된 오해다.
배당가능이익 제한하지 않는 임의적립금
일각에서 제기된 “과도한 임의적립금의 설정이 재무제표를 왜곡시키고 배당 정책에 혼란을 가져온다"는 주장 역시 회계적 관점에서 타당하지 않다는 지적이 나온다.
임의적립금은 기업의 이익잉여금 사용 계획을 보여주는 계정일 뿐, 배당가능이익 계산 시 제외되지 않는다. 임의적립금 설정 여부가 배당 여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얘기다.
상법 제462조는 배당가능이익을 '대차대조표(재무상태표)의 순자산액(자산-부채)으로부터 자본금, 자본준비금, 이익준비금 등을 뺀 금액'으로 규정하고 있다. 즉, 배당가능이익은 기업의 순자산에서 법적으로 적립이 강제된 금액을 제외하고 남은 금액을 의미하며, 임의적립금은 여기에 포함된다. 따라서 임의적립금이 많다고 해서 배당가능이익이 줄어드는 것은 아니다.
임의적립금은 주주총회 결의를 통해 그 목적을 변경하거나 환입하여 배당 재원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오히려 이런 방식으로 회계처리를 하는 것이 기업의 재무적 유연성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다.
또 “연구개발(R&D)비가 임의적립금의 과다 계상의 원인"이라는 일각의 주장도 오해라는 설명이다.
연구개발비의 지출은 당기순이익의 감소를 유발한다. 그리고 이런 당기순이익의 감소는 이익잉여금에 영향을 준다.
임의적립금은 이익잉여금 내에서 이사회 결의나 주주총회에서 결정한다. 결과적으로 이익잉여금이 적다면 그 안에서 결정돼야 할 임의적립금도 줄어들 수는 있다. 하지만 '과다' 계상되기는 어렵다.
“ROE 개선은 자본 줄이기보다 이익 늘려야"
또 일각에서는 “투자나 주주환원 등으로 총자본을 줄여야 자기자본이익률(ROE)도 개선된다"며 임의적립금을 투자와 주주환원에 사용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이도 단편적인 시각이라는 의견이 많다.
ROE는 투입한 자본 대비 얼마나 효율적으로 이익을 창출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다. 따라서 자본을 줄이면 ROE가 오르기는 한다. 하지만 자본을 줄일 게 아니라 이익을 늘리는 것이 ROE 개선의 정석이다. ROE라는 투자지표 수치 하나를 개선하겠다고 자본을 줄이는 방법을 택할 회사는 없다.
오히려 삼성전자는 임의적립금을 통해 확보한 재원을 바탕으로 대규모 R&D 투자, 시설투자, M&A 등을 추진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해 왔다.
삼성전자와 같이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하는 기업은 환율 변동, 원자재 가격 상승, 공급망 불안 등 다양한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다. 이에 대응할 수 있는 여력도 결국 임의적립금에서 나오는 것이다.
또 삼성전자는 용인에 건설될 반도체 클러스터 국가산단에 300조원 규모의 투자를 집행할 계획을 수립 중이다. 당연히 이 투자에도 임의적립금이 필요하다.
이에 임의적립금은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미래 성장 동력 확보를 위해 필요한 전략적 선택이라는 게 재계의 하소연이다. 이를 단순히 '곳간에 쌓아둔 현금'으로만 보는 것은 기업의 본질과 재무적 의사결정 과정을 간과하는 것이라는 얘기다.
한 재계 관계자는 “중요한 것은 임의적립금의 규모 자체가 아니라 그 적립 목적의 타당성과 사용 계획의 투명성, 그리고 주주환원과의 균형"이라며 “이를 통해 기업은 주주들의 신뢰를 얻고, 장기적인 성장 동력을 확보할 수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