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에스더

ess003@ekn.kr

박에스더기자 기사모음




[E-로컬뉴스]홍천군 소식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1.20 16:19

홍천군 반값 농자재 지원사업 품목 확대 지원

반값 농자재 지원사업 참여 판매점

▲홍천군 반값 농자재 지원사업 참여 판매점. 제공=홍천군

홍천=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홍천군이 갈수록 상승하는 국제 농자재 가격으로 어려워하는 농가의 부담감을 덜어주기 위한 반값 농자재 지원사업을 통해 소모성 농자재 품목을 확대하여 지원한다고 20일 밝혔다.


홍천군은 지난 2023년부터 연간 300억원이라는 도내 최대 규모로 사업비를 투자해 농가들의 경영을 지원해 왔다. 2023년 7560 농가, 2024년 8741 농가가 해당 지원사업을 통해 혜택을 받았으며, 수혜자 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군은 2025년에는 농업인들의 요구를 반영해 영농에 필요한 소모성 농자재로 이뤄진 지원 품목을 확대할 예정이다.


반값 농자재 지원을 희망하는 대상은 2025년 1월 1일 기준으로 도내에서 2년 이상 거주하고 2년 이상 농업경영체를 운영한 농가로 한정된다.


신청은 21일부터 2월 14일까지 읍·면 행정복지센터 산업경제팀에서 접수할 수 있으며, 지역별 접수 일정이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이 필수적이다.




이규춘 군 농정과장은 “농업인들이 안정적으로 영농을 이어갈 수 있도록 계속해서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며, “지원 품목이 확대되면서 더 많은 농가가 혜택을 받을 수 있기를 희망하며, 이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홍천군, 주소정보시설 전수조사

홍천군은 2025년 6월 말까지 주소정보시설 8235개에 대한 전수조사를 진행한다.


20일 홍천군에 따르면 건물번호판을 제외한 도로명판 5481개, 기초번호판 1949개, 사물주소판 558개, 국가지점번호판 247개 등 총 8235개의 시설물이 전수조사 대상이다.


현장 조사용 단말기를 활용해 전수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훼손되거나 잃어버린 시설물을 찾아 하반기에는 유지보수를 실시할 계획이다.


유진수 군 토지주택과장은 “매년 정기적인 주소정보시설의 전수조사를 통해 도로명주소에 대한 안정적 정착과 주소정보 사용의 편의를 증진하여 군민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고자 한다"고 전했다.



홍천군 20세 이하 청년 운전면허 학원비 '50%' 지원

홍천군이 청년정책의 일환이자 민선 8기 공약사항으로 20세 이하 청년에게 운전면허 학원비 지원사업을 시행한다.


20일 홍천군에 따르먄 지역 내 운전전문학원에 등록해 면허를 취득한 후 지원금을 신청하면 학원비의 50%를 지원하는 사업으로 2023년 첫 시행해 현재까지 홍천군 청년 478명에게 1억 7227만 원 상당의 지원금을 지급했다.


지원 대상은 지원 요건을 모두 만족하는 20세 이하 청년이다. 신청은 구비서류를 지참하여 주민등록상 주소지 관할 읍·면 행정복지센터에 방문하거나 등기우편으로 신청할 수 있으며, 지원사업은 선착순으로 예산 소진 시까지 신청할 수 있다.


신영재 홍천군수는 “운전면허 학원비 지원을 통해 청년들의 사회 진출을 위한 능력 개발 및 지역 정착에 도움이 됐으면 한다"라고 말했다.



홍천군보건소, 전문의 정신건강 무료 상담

홍천군보건소가 직영으로 운영하는 홍천군정신건강복지센터는 정신 건강 상담이 필요한 홍천군민에게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상담'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다.


강원대학교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가 진행하는 상담은 우울, 불안, 스트레스 등 정신 건강 문제로 일상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홍천군민이라면 누구나 무료로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진료 기록이 남지 않아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상담 외에 약물 처방은 받을 수 없지만 지속적인 상담 서비스를 원할 때 센터에 소속된 정신건강전문요원과의 상담 및 프로그램, 사례관리 등 다양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운영 장소는 정신건강복지센터 2층 전문의 상담실이며, 상담 신청을 원하는 군민은 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락해 사전 예약 후 이용이 가능하다.


원은숙 보건소장은 “ 평소 우울감, 불안 등으로 정신 건강에 어려움이 있다면 전문의 무료 상담 서비스를 이용해 보시기 바란다"며 “조기에 질병을 발견하여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당부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