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림청은 2025년 주요업무 추진계획을 통해 산림을 기후위기 해결의 핵심 자산으로 삼겠다고 21일 발표했다. 탄소 흡수 능력을 높이고, 지속가능한 산림 경영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며, 국내외에서 탄소 감축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이 주요 목표다.
탄소 흡수량 확대를 위해 산림청은 도시숲 196개소와 간척지 등의 유휴지에 녹지 공간을 새롭게 조성한다. 또한 편백, 가시나무 등 병해충에 강한 수종을 심어 기후변화에 적응할 수 있는 숲을 조성할 계획이다. 산림청 관계자는 “탄소 흡수 능력을 강화하기 위한 지속가능한 산림경영이 필수"라며, 이를 뒷받침할 법적 기반으로 '목조건축활성화법'과 '임도설치법' 제정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국제적으로는 REDD+ 프로젝트를 통해 동남아 지역의 산림황폐화를 방지하고, 중남미와 아프리카로 사업을 확장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오는 2030년까지 500만 톤의 탄소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는 한국의 탄소 중립 목표 달성에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산림청은 산림재난 예방과 임업인 지원을 통해 국민 안전과 경제 활성화에도 나선다. 산불, 산사태 등의 재난을 방지하기 위해 사방댐 1천 개를 추가 설치하고, 전국에 야간 산불대응반을 운영한다. 또한, 임업인의 안정적인 경영을 지원하기 위해 재해보험 대상을 확대하고, 임산물 판로와 홍보 전략을 강화할 예정이다.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노력도 병행된다. 산림청은 산림생태계의 기후위기 적응력을 높이기 위해 멸종위기 침엽수와 취약식물에 대한 맞춤형 복원 계획을 강화하고, 오는 6월에는 '제11차 세계식물원교육총회'를 개최해 국제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임상섭 산림청장은 “기후위기 대응은 전 세계적인 도전이며, 산림의 지속가능한 관리와 활용이 그 해답이 될 수 있다"며 “탄소 흡수는 물론 생물다양성 보전과 국민 안전까지 모두가 누릴 수 있는 건강한 숲을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