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희순

hsjung@ekn.kr

정희순기자 기사모음




[재기성공人터뷰 ③] “경력단절 딛고 ‘꽃집 창업’ 새꿈 찾았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1.30 15:31

■ 희망리턴패키지 사례 - 블룸바이진 김혜진 대표
호주 로펌 잘나가던 커리어우먼, 한국 오니 ‘경단녀’
취업 잇단 실패에 자영업 눈돌려 ‘친환경 꽃집’ 도전
“사업화자금도 중요하지만 컨설팅이 큰 도움” 추천

미니컷

▲designed by 김베티 기자

폐업자 100만 명 시대. 큰 꿈을 안고 창업했지만, 마주한 현실은 생각보다 아프고 시리다는 게 선배 창업자들의 조언이다. 막상 폐업을 하려고 해도 폐업 비용 탓에 어려움이 크고, 폐업을 한 이후 생계도 걱정이 된다. 중소벤처기업부의 '희망리턴패키지'는 경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거나 폐업을 준비하는 소상공인을 위해 폐업 지원과 취업지원, 재기 사업화 지원을 패키지로 제공하는 사업이다. 에너지경제신문은 희망리턴패키지사업을 통해 새 희망을 얻고 재기에 성공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대표사례를 시리즈로 연재한다. <편집자주>

김혜진 블룸바이진 대표.

▲김혜진 블룸바이진 대표.

'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 이 말은 김혜진 블룸바이진 대표에게 딱 어울리는 격언임이 틀림없다.


한국에서 패브릭 디자인 일을 하던 김 대표는 지난 2012년 한국을 떠나 남편과 함께 10여년 간 호주에 거주하다 지난 2023년 고국으로 돌아왔다. 한국에서 일자리를 찾아보려 했지만 연이어 고배를 마셨고, 결국 그는 자영업으로 눈을 돌려 서울 용산구 후암동에 꽃집을 창업했다.


중소벤처기업부의 희망리턴패키지 사업은 김 대표가 '재수' 끝에 따낸 지원 사업이다. 김 대표는 친환경 꽃꽂이 상품과 클래스 운영을 위한 사업화를 신청해 사업화 자금 1300만원을 지원받았다.


다음은 김혜진 대표와의 일문일답.


-외국에서 살면서 한국 실정을 잘 몰랐을 것 같은데 희망리턴패키지 사업까지 찾아서 신청했다는 점이 놀랍다.




▲창업을 결심하면서 도움을 받을 수 있을 만한 곳을 적극적으로 알아봤는데 의외로 정말 많았다. 서울시에서 도와주는 재창업 컨설팅은 물론이고, 은행에서 무료 컨설팅도 받았다. 그러던 중 만난 멘토 선생님께서 정부가 자금을 지원해주는 희망리턴패키지에 신청을 해보라고 권하셨다.


사실 희망리턴패키지는 지원 내용이 워낙 좋아서 한번 지원을 해봤었는데, 지난해 4월에 이미 떨어진 사업이었다. 솔직하게 얘기를 했더니, 이번에 또 공고가 나올 것 같으니 다시 한 번 도전을 해보라고 하셔서 같은 해 7월 사업에 선정됐다.


-많은 업종 중 꽃집을 고른 이유가 있나.


▲2012년에 호주에 가기 전까지 서울에서 인테리어 패브릭 디자인을 했는데, 호주 당국에서 코로나19 이후 재창업 교육을 장려하면서 그때 꽃꽂이 자격증을 땄었다. 이후 현지에서 창업을 했다가 아이 육아 문제로 2023년 한국으로 돌아오게 됐다.


김혜진 블룸바이진 대표.

▲김혜진 블룸바이진 대표.

-귀국 후 바로 창업을 생각했던 것인가.


▲처음에는 취업이 하고 싶었다. 호주에 있을 때 변호사 사무실에서 일했던 적이 있었고, 나름대로는 그 경력이 꽤 괜찮다고 생각을 했다. 현지 유명한 판사님과 변호사님들의 추천서를 다 가지고 있었던 데다 영어도 강점이라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막상 취업에 도전해보니, 경력단절에 나이도 많은 것에 발목을 잡혔다.


결국 취직 생각은 접었고, 자영업을 알아봤다. 다행스럽게도 과거 한국에서 사업도 하고 직장도 다녔던 경력이 있어 '내일배움카드' 신청이 됐다. 기왕 꽃집을 차리려면 우리나라 트렌드에 맞는 꽃도 배워야 할 것 같기에 6개월 정도 배우면서 창업을 준비했다.


-소상공인을 위해 정부가 좀 더 신경써야한다고 생각한 부분이 있나.


▲희망리턴패키지는 정말 좋은 제도다. 다만 신청만 한다고 다 되지는 않고, 사업계획서를 포함한 서류 심사를 받아야 하고 프레젠테이션도 해야 한다. 또한, 정부 자금이 들어가다 보니 비용 증빙도 일일이 해야 한다. 과정이 은근히 까다로워 컴퓨터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분들은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부분을 도와주실 수 있는 컨설턴트가 계시면 좋지 않을까 싶다.


가장 필요한 건 홍보다. 좋은 제도인데 모르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 너무 안타깝다. 제가 홍보대사는 아니지만, 주변 지인들에게 많이 알리고 있다.


-소상공인들에게 조언을 해준다면.


▲창업을 준비하면서 세미나나 간담회에 정말 많이 참석했는데, 거기서 만난 대다수 소상공인이 컨설팅의 중요성에 대해 간과하는 경우를 많이 봤다. 당장 자금 지원을 받을 수 있는 사업만 챙겨보고, 컨설팅에 대해서는 '시간도 없고 바빠 죽겠는데 누구는 몰라서 안하나' 하고 넘겨버리는 거다.


그런데 그 생각부터 바꿔야 한다. 자영업은 '자신과의 싸움'이다. 컨설팅을 받다보면 의지도 되새길 수 있고, 정보도 얻을 수 있다. 또 사업에 대해 이야기할 누군가가 곁에 생기게 돼 저는 컨설팅 받는 게 정말 좋았다.


-앞으로의 목표가 있나.


▲기업 소비자 간 거래(B2C)도 좋지만, 기업 간 거래(B2B) 부분에 집중하고 싶은 바람이 있다. 전에 인테리어를 공부하기도 했기 때문에 꽃과 공간의 조화를 많이 생각하게 된다. 또 누군가에게 선물을 할 때 꽃과 와인이 잘 어울릴 것 같다고 판단해 주류판매허가도 별도로 받은 상태다. 블룸바이진을 가치 있는 하나의 브랜드로 키우고 싶은 게 제 꿈이다.


블룸바이진의 꽃과 와인 패키지

▲블룸바이진의 꽃과 와인 패키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