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김동성 객원특파원] 최근 영국에서 풍력발전 가동이 멈추면서 긴급히 가스발전이 대체 가동되었다. 이로 인해 비상전력공급단가가 평소보다 50배나 급증하는 일이 벌어졌다.
1일 영국 가디언지에 따르면 현지시간으로 지난달 8일 저녁시간대에 바람이 없는 한파가 불어 닥치면서 전력 수요가 급증한 반면, 일부 풍력발전 가동이 멈추면서 전력 공급이 급감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영국의 송전망 운영 기관인 National Energy System Operator(NESO)는 이날 저녁 피크 시간대인 오후 4시부터 7시 사이에 전력 공급이 약 1700메가와트(MW) 부족할 것이라고 발표했는데, 이는 약 85만 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전력량이다.
이 부족 전력을 비상발전으로 공급하면서 VPI파워사는 허트퍼드셔에 소유한 라이하우스(Rye House) 발전소를 통해 메가와트시(MWh)당 5000파운드(약 900만원)에 전기를 공급했고, 유니퍼(Uniper)사는 웨일스 플린트셔에 소유하고 있는 코나스 콰이(Connah's Quay) 발전소를 통해 MWh당 2900파운드(약 523만원)에 전기를 공급했다.
이를 통해 단 3시간 동안 VPI파워사는 총 615만파운드(약 111억원), 유니퍼사는 600만파운드(약 108억원) 이상의 수익을 거뒀다.
한편, 이날 일반 전력시장의 판매거래가격도 MWh당 약 1000파운드(약 180만원)로 치솟았고, 일부 시간대에는 MWh당 2000파운드(약 361만원)까지 거래되기도 했다. 이는 지난 3년 동안 가장 높은 수준이다.
이날 영국 전력망의 전력원 구성은 가스발전 53%, 풍력발전 18%, 원전 12%, 바이오매스 6%, 나머지는 수입 전력으로 충당됐다.
NESO는 영국의 가스발전소와 전력 수입 케이블이 이미 최대 용량으로 가동되고 있어 전력 공급을 늘릴 수 있는 선택지가 제한적이었지만 이번 조치는 겨울철에 자주 사용하는 정상적인 조치로 전기 공급이 부족하다는 의미는 아니라고 밝혔다.
그러나 석탄발전소 폐쇄되고 풍력발전 의존도가 높아지면서, 전력공급 시스템이 극한의 기후 상황에서 더 큰 압박을 받고 있다는 점이 이번 한파를 통해 드러났다. 이 날의 기록적인 전력 가격과 발전소의 수익은 영국 에너지 시장이 기후 변화와 에너지 수급 문제에 얼마나 민감하게 반응하는지 보여주는 사례로 남을 것이라고 가디언은 지적했다.
이번 사례는 한국에도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평가가 나온다. 전 세계적으로 태양광과 풍력 같은 재생에너지 전력이 급속히 늘어나고 있지만, 재생에너지는 자연환경에 따라 발전량이 들쭉날쭉하다는 치명적 결함(간헐성)을 갖고 있다.
한국도 재생에너지 확대를 적극 추진하고 있는 만큼, 안정적이고 유연한 에너지 시스템 구축이 필수적이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국회에 제출한 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조정안에 따르면 재생에너지 비중은 현재 약 10%에서 2038년 29.2%(206.2TWh)로 확대될 예정이다.
재생에너지가 크게 늘어나는 만큼 간헐성 문제를 보완할 대책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선 우선 재생에너지 전력을 저장했다가 방출할 수 있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구축이 필요하고, 대규모 전력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원전 같은 기저발전원도 중요하다.
이와 함께, 에너지 정책과 시장 안정성을 뒷받침하기 위한 법적·제도적 프레임워크도 강화돼야 한다. 영국은 에너지 시장의 효율성과 공정성을 유지하기 위해 오프젬(Ofgem)과 같은 독립적 규제 기구를 운영하고 있다. 이 기구는 에너지 가격 모니터링, 공급 안정성 확보, 소비자 권익 보호 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한국도 유사한 독립 규제 기구를 도입해 장기적이고 일관된 에너지 정책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고 전문가들은 평가하고 있다.
김동성(Robert Kim) 객원특파원(변호사) energyad@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