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37만명 이상이 구조조정·사업 부진 등으로 일자리를 잃은 것으로 나타났다. 장시간 근로자가 줄고, 단시간·초단시간 근로자가 늘어나며 고용의 질도 후퇴했다는 평가다. 고물가·경기침체 등으로 내수부진이 장기화한 여파로 풀이된다.
2일 통계청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MD)에 따르면 지난해 비자발적 퇴직자는 137만2954명으로 전년(126만6193명)보다 약 8.4% 증가했다. 전체 퇴직자의 약 42.9%에 달하는 규모다.
비자발적 퇴직은 △직장의 휴·폐업 △명예·조기퇴직 △정리해고 △임시·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사람을 뜻한다.
코로나19 확산 이후인 2020년 180만6967명으로 2019년(132만9927명)보다 35.9% 급증했다가 이듬해인 2021년(169만3825명)부터 3년 연속 감소세를 이어왔다. 팬데믹 이후 고용안정성이 회복되는 추세였으나, 내수부진이 심화하면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선 것으로 분석된다.
특히 주 36시간 미만 단시간 근로자와 15시간 미만 초단시간 근로자 비중이 모두 증가해 눈길을 끈다.
단시간 근로자는 지난해 881만명으로 전년(23.9%) 대비 약 7%가량 늘었다. 전체 취업자(2857만6000명)의 약 30.8%를 차지했다. 같은 기간 초단시간 근로자는 250만명으로 10.2% 늘었다. 모두 통계작성 이후 최대치다.
반면 장시간 근로자(주 53시간 이상 근무)는 274만1000명으로 10.7% 감소했다. 단시간·초단시간 근로자의 임금 및 근무 여건 등이 장시간 근로자에 비해 열악하다는 점을 감안하면 고용의 질이 전년보다 하락한 것으로 관측된다.
이는 기업의 채용 문이 좁아짐과 동시에 구조조정이 확대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국노동연구원이 근로자 500인 이상, 매출 1조원 이상 대기업 100곳의 인사담당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전체 채용공고 중 공채 비중은 2019년 39.9%에서 2023년 35.8%로 4.1% 감소했다.
특히 2023년 공채를 진행했다고 응답한 기업의 20%는 “올해까지만 공개채용을 할 계획"이라고 답해 이같은 감소세는 이어질 전망이다.
플랫폼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라이더 등 특수형태근로종사자(특고)가 늘어난 것도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김위상 국민의힘 의원실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플랫폼·특고를 의미하는 '노무제공자'의 산재보험 가입자 수는 131만8359명으로 전년(80만1386명)보다 64.5%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