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은 산업화 이전과 비교해 지구 평균 기온이 1.5°C(도) 이상 상승한 첫해로 기록됐다. 동시에 극지방의 해빙이 급격히 줄어들고 있으며, 해수면 상승 속도도 점점 빨라지고 있다. 남극 해빙 면적은 역대 최저 수준에 근접했고, 해수면은 연평균 4.77mm씩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영국 기후 전문 매체 카본브리프(CarbonBrief)가 발표한 '2024년 기후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이산화탄소(CO₂), 메탄(CH₄), 아산화질소(N₂O) 등 주요 온실가스의 대기 중 농도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온난화의 주요 원인 중 이산화탄소는 산업화 이전(1850~1900년)과 비교했을 때 지구 온도 상승의 42%를 차지하며, 메탄이 28%, 아산화질소가 5%를 차지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나머지 25%는 일산화탄소, 블랙카본, CFC 등 기타 요인으로 인한 것이다.
특히 남극의 해빙 감소가 두드러진다. 2024년 남극 해빙 면적은 관측 사상 두 번째로 작은 수준을 기록했으며, 2023년이 역대 최저치를 기록한 점을 고려하면 감소세가 계속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북극도 예외는 아니다. 1979~2010년 관측 자료와 비교하면, 2024년 북극 해빙 면적은 대부분의 기간 동안 최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빙하가 녹으면 해수면 상승은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1900년 이후 전 세계 해수면은 20cm 이상 상승했으며, 최근 30년 동안 그 속도는 더욱 빨라졌다.
1993~2002년 평균 해수면 상승 속도는 연 2.13mm였으나, 2014~2023년에는 연 4.77mm로 두 배 이상 증가했다. 연구에 따르면 이러한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50년까지 전 세계 수백만 명이 거주지를 잃을 위험에 처할 것으로 예상된다.
기후변화의 영향은 극지방을 넘어 전 세계로 확산하고 있다. 유네스코의 2024년 해양 현황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 동안 해양 온난화 속도가 두 배로 빨라지면서 해양 산성화와 산소 농도 감소로 인해 해양 생태계에도 악영향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지난해 유럽과 아시아에서는 기록적인 폭염과 가뭄이 발생했으며, 북미에서는 강력한 허리케인과 홍수가 발생했다.
북극에서는 해빙 감소뿐만 아니라 영구동토층 해빙 현상도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최근 극지연구소 연구진은 알래스카 북서부 수어드 반도 카운실 지역에서 채집한 동토를 실험실에서 녹이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오랫동안 얼어 있던 토양 속에서 병원균이 깨어나는 현상이 확인됐다.
특히 연구진은 감자 무름병을 일으키는 슈도모나스(Pseudomonas) 속 균주가 동토의 전이층과 영구동결층에서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 균주는 동토가 녹는 환경에서 감염성이 더욱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온 상승으로 농작물 재배 가능 지역이 넓어지는 상황에서 이러한 병원균이 활성화된다면, 농업에도 상당한 위협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