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김종환

axkjh@ekn.kr

김종환기자 기사모음




물가상승률, 5개월만에 2%대 진입…고환율에 석유류 7.3% 상승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2.05 08:40

통계청, 2025년 1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가공식품, 농축수산물 물가도 올라
기재부 “불확실성에 경각심 갖고 물가안정 총력…품목별 물가동향 지속 점검”

서울의 한 대형마트

▲서울의 한 대형마트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상승 흐름을 이어가면서 5개월 만에 2%대로 올라섰다.


고환율에 석유류 물가가 7.3% 오르면서 전체 물가를 끌어올린 가운데 가공식품, 농축수산물 물가도 올랐다.


5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1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5.71(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2%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7월(2.6%) 이후 반년 만에 가장 높다. 작년 중순까지 2~3%대를 오갔던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9월 1%대(1.6%) 진입하고 10월에 1.3%까지 떨어졌지만 이후 방향을 바꿔서 11월 1.5%·12월 1.9%에 이어 지난달까지 3개월 연속 상승했다.


석유류가 7.3% 올라 작년 7월(8.4%) 이후 최고 상승률을 나타내면서 전체 물가를 0.27%포인트(p) 끌어올렸다.




주로 국제유가와 환율의 상승 영향으로 풀이된다. 여기에 1년 전 낮은 수준이던 기저효과도 작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외식제외 개인서비스 물가는 3.5% 오르며 전체 물가를 0.68%p 올렸다. 지난 2023년 12월(3.5%) 이후 13개월 만에 상승률이 가장 높았다.


실손보험료 등 보험서비스료가 오른 것이 주요 배경이다. 여행 수요 증가에 따라 해외·국내 단체 여행, 콘도이용료 등도 상승했다.


소비자물가추이

▲소비자물가추이. 그래픽=연합뉴스

가공식품류도 2.7% 상승해 작년 1월(3.2%) 이후 가장 크게 오르며 전체 물가를 0.23%p 높였다


채소류는 4.4%, 축산물은 3.7%, 수산물은 2.6% 오르며 농축수산물 물가가 1.9% 상승했다.


배추가 66.8% 뛰며 지난 2022년 10월(72.5%) 이후 2년 3개월 만에 가장 큰 폭 상승률을 기록했다. 기상악화에 따른 산지출하 물량 감소가 영향을 미쳤다. 무도 79.5% 올라 상승 폭이 컸다.


김은 35.4% 올라 지난 1987년 11월(42%) 이후 무려 37년 2개월 만에 최대 폭 상승을 기록했다. 당근도 76.4%로 2017년 2월(103.7%) 이후 7년 11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다만 파(-32.0%), 감(-23.2%), 바나나(-13.8%) 등은 감소 폭이 컸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5%로 작년 7월(3.0%) 이후 반년 만에 최대였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는 2.0% 상승하며 역시 작년 7월(2.1%) 이후 다시 2%대로 복귀했다.


'밥상물가'와 관련 있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0.7% 상승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년 전보다 1.9% 상승했다.


이두원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11월과 12월 환율 상승이 석유류에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며 “가공식품이나 기타 원자재에는 다소 시간을 두고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기획재정부는 당분간 국제유가 변동성, 이상기후 등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경각심을 갖고 물가안정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먹거리 물가안정 노력을 지속하는 한편, 주요 품목별 물가동향을 지속 점검하고 가격 불안 품목에 대해서는 대응방안을 신속히 강구해나갈 계획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