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북도의회, 저출생·지방소멸 극복 및 독도수호 등 주요 현안 논의
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저출생·지방소멸 극복특별위원회, 2025년도 업무보고 청취
![제352회 임시회 저출생지방소멸극복 특별위원회](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06.09c743b891ca44a5be5fa66c5d492192_P1.jpg)
▲경북도의회 저출생지방소멸극복특별위원회는 5일 관련 부서로부터 2025년도 저출생 및 지방소멸 대응 업무보고를 청취 했다. 제공-경북도의회
경상북도의회 저출생지방소멸극복특별위원회는 5일 관련 부서로부터 2025년도 저출생 및 지방소멸 대응 업무보고를 청취하고, 질의·토론을 진행했다.
위원들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역 실정에 맞는 실효적 해결책을 모색하며, 집행부 관계자들과 심도 있는 논의를 가졌다.
이형식 위원장(예천) 은 “양육 부담을 줄이고, 부모들이 안심하고 아이를 키울 수 있는 환경 조성이 핵심"이라며 “경북이 '아이 키우기 좋은 지역'이 될 수 있도록 지속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밝혔다.
◇독도수호특별위원회, 2025년 업무보고 및 대응방안 논의
![제352회 임시회 독도수호 특별위원회](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06.00b1c9de3ee94960b021b969dd08d081_P1.jpg)
▲경북도의회 독도수호특별위원회 는 같은 날 해양수산국 및 독도재단으로부터 2025년 주요 업무보고를 받고 있다. 제공-경북도의회
경상북도의회 독도수호특별위원회 는 같은 날 해양수산국 및 독도재단으로부터 2025년 주요 업무보고를 받고, 독도 영유권 강화 방안을 점검했다.
연규식 위원장(포항) 은 “일본의 역사 교과서 왜곡과 방위백서 내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한 체계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독도 수호 의지 강화를 당부했다.
◇ 경북도의회 경상북도 전통발효식품 활성화 방안 연구회, 중간보고회 개최
![경상북도 전통발효식품 활성화 방안 연구회_중간보고회](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06.f2aef5fbd85d4adf80a57a3bb79561cb_P1.jpg)
▲경북도의회 '경상북도 전통발효식품 활성화 방안 연구회'는 5일 도의회 운영위원회 회의실에서 중간보고회를 개최 했다. 제공-경북도의회
경북도의회 '경상북도 전통발효식품 활성화 방안 연구회' 는 5일 도의회 운영위원회 회의실에서 중간보고회를 개최하고, 전통발효식품 산업 발전 방향과 정책적 지원 방안을 논의했다.
박민규 연구위원(경북연구원) 은 국내외 발효식품 시장 동향 및 경북 발효식품 산업 현황을 분석하며, “경상북도의 전통발효식품을 지역 정체성과 문화적 자산으로 부각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주요 활성화 방안으로 '경상북도 김치체험학교' 설립·인증, 영천(보현산) 지역 중심의 발효식품 6차 산업화 구축 등을 제안했다.
이번 연구회에는 이춘우 대표의원을 비롯해 김일수, 김진엽, 김창혁, 윤철남, 이충원 의원 등 6명이 참여하고 있으며, 5월 초 최종 연구 결과 발표 후 의정활동에 반영할 계획이다.
◇ 경북도의회, 정책지원 담당공무원 역량 강화 교육 실시
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경상북도의회는 6일부터 7일까지 이틀간 정책지원 담당공무원 35명을 대상으로 직무 역량 강화 교육을 진행했다.
![경북도의회, 정책지원 담당공무원 역량 강화 교육 실시](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06.1c82d9ee01a94f36aba6f95b36daee4f_P1.jpeg)
▲정책지원 담당공무원 역량강화교육. 제공-경북도의회
이번 교육은 의원의 의정활동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해 실무 중심의 맞춤형 교육으로 기획됐다.
6일 첫날 교육에서는 ChatGPT 등 AI를 활용한 자료 수집 및 작성 실습을 통해 실무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학습했다.
이어 김종수 사무처장과의 간담회를 통해 정책지원 담당공무원의 애로사항과 건의사항을 청취하는 소통의 시간이 마련됐다.
7일 둘째 날 교육에서는 MBTI 성격 유형 검사를 활용한 조직 내 갈등관리 및 효율적인 팀 빌딩 방안에 대해 심층 교육이 이뤄졌다.
또한, 김선희 정책지원담당관과의 대화 시간을 통해 정책지원 담당공무원의 업무 방향성, 직무 만족도 제고를 위한 노하우 및 경험을 공유하는 자리도 마련됐다.
박성만 경상북도의회 의장은 “정책지원관은 의원의 씽크탱크(Think Tank) 역할을 하므로 지속적인 역량 계발이 필수적"이라며, “도의원의 정책 개발과 입법 지원을 통해 도민들의 민생 회복과 미래 교육 환경 조성을 돕는 정책지원관 교육을 정기적으로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정책지원 전문인력 제도는 2022년 지방자치법 개정·시행에 따라 도입됐으며, 경상북도의회는 의원 정수의 1/2인 30명을 채용해 의정자료 수집, 조사, 연구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