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 각국이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가 개발한 AI 모델을 차단하기 위해 열을 올리고 있다. 저비용으로도 오픈AI사의 챗GPT와 비슷한 성능을 낸다는 점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지만 민감한 개인정보가 중국으로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자 딥시크 금지를 결정하거나 차단을 추진하는 사례들이 세계 곳곳에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정치적 양극화가 심한 미국에서는 딥시크 사용 규제를 위한 법안이 초당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6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 연방 하원 정보위원회 소속 공화당 대런 라후드 의원과 민주당 조시 고트하이머 의원은 미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챗봇 서비스를 금지하는 내용을 조만간 발의할 예정이다.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처럼 딥시크를 통해 개인정보가 유출될 유려에서다.
고트하이머 의원은 “우린 틱톡을 통한 중국 정부의 수법을 본 적이 있었기에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내버려둘 수 없다"고 밝혔다. 라후드 의원도 “어떤 상황에서도 중국 공산당 기업이 정부·개인 정보를 수집하는 것을 허용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딥시크는 지난달 최신형 AI모델 'R1'을 출시하면서 전 세계에서 단숨에 주목을 받았다. 데이터 분석업체 센터타워에 따르면 딥시크 AI 앱은 출시 후 18일 만에 1600만회의 글로벌 다운로드를 기록했다. 동일 기간 챗GPT 앱의 다운로드 횟수는 900만회에 불과했다.
다만 딥시크가 키보드 입력패턴 등 이용자 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하는 지적도 나온다. 특히 딥시크 서버에 저장된 개인정보가 중국 당국으로 넘어갈 수 있다는 우려가 확산하면서 한국을 포함한 세계 각국이 딥시크 차단에 속속 나서고 있다.
딥시크 사용을 최초로 금지시킨 국가는 이탈리아다. 이탈리아의 개인정보 보호 기관인 '가란테'(Garante)는 지난달 29일부터 애플과 구글 앱스토어에서 딥시크 앱을 전면 차단했다. 호주와 대만은 뒤이어 정부 소유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일본의 경우 공식적으로 금지하지는 않았지만 지난 4일 하야시 요시마사 관방장관은 딥시크가 수집한 자료는 중국 법령이 적용된다며 이용 자제를 권고했다고 일본 신케이신문은 전했다.
미국은 국방부, 해군과 항공우주국(NASA) 등 일부 연방기관이 이미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으며 주 정부 차원에서는 텍사스주가 딥시크 사용을 막았다.
이밖에 영국과 유럽연합(EU) 소속 국가들도 딥시크의 위험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민간 기업들도 일찌감치 딥시크 차단에 나섰다. 블룸버그에 따르면 사이버보안 업체 아르미스 측은 고객사 약 70%가 딥시크 접속 차단을 요구했다고 최근 밝힌 바 있다. 네트워크 보안 업체 넷스코프도 자사 고객사 중 52%가 딥시크 접속을 완전히 차단했다고 지난달 밝혔다.
이에 대해 딥시크는 7일 성명을 내고 “최근 딥시크와 관련된 일부 위조 계정과 근거 없는 정보가 대중을 오도하고 혼란을 초래하고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