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딥시크 접속 후 뜨는 첫 화면. 사진=박규빈 기자](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09.f1741d022c1d4160a89027c2af9e8fd9_P1.png)
▲딥시크 접속 후 뜨는 첫 화면. 사진=박규빈 기자
중국에서 탄생한 생성형 AI '딥시크(DeepSeek)'가 광범위한 정보 수집에 따른 보안 위협에 취약하다는 지적이 있따르면서 전세계적으로 줄줄이 접속 규제의 대상이 되고 있다.
9일 정보·기술(IT) 업계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외교부·국방부·국토교통부 등을 필두로 한 정부 부처들은 속속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지난 3일 행정안전부가 '보안 주의 사항'이라는 제하의 공문을 각 부처에 보낸 이후의 조치다.
행안부는 해당 공문을 통해 “최근 딥시크 등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의 공공 분야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보안상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며 “비공개 또는 개인 정보 등 민감한 사항을 입력하거나 검증 없이 활용하지 않도록 기존 보안 유의 사항을 철저히 준수해달라"고 요청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도 지난 7일 별도 브리핑을 진행해 딥시크의 서비스 이용 과정에서 보안상 우려가 지속 제기되고 있다며 신중한 이용을 당부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 헌법 기관과 경찰청·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등 수사 기관, 서울시·경기도 등 광역 지방 자치 단체들도 줄줄이 '딥시크 금지령' 대열에 참여했다. 민간 기업 중에서는 현대자동차그룹·LG유플러스·카카오·네이버·삼성카드·쏘카·CJ제일제당·신한은행·삼성SDS·신성이엔지·롯데백화점·한화시스템·KB국민은행이 사용을 금지했다.
이처럼 차단 움직임이 본격화됨에 따라 딥시크 앱 사용자도 급감하고 있다. 아이지에이웍스 모바일인덱스는 딥시크 앱 일간 사용자수가 지난달 28일 19만1556명으로 정점을 찍었다고 밝혔다. 이후 29일 13만2781명, 30일 9만6751명 등으로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고, 지난 4일의 경우 7만4688명까지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딥시크 앱 신규 설치는 설 연휴 기간이었던 지난달 28일 17만1257건으로 최다 수치를 기록한 후 29일에는 6만7664건으로 3분의 1 수준까지 떨어졌다. 이달 들어서는 1일 3만3976건, 2일 2만5606건, 3일 2만3208건, 4일 2만452건 등으로 실적이 저조해지고 있다. 행안부 자제 권고가 나온 4일의 경우 28일과 비교해 8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셈이다.
딥시크는 V3모델의 개발 비용이 557만6000달러(한화 약 81억2869만원)라고 밝혔다. 70억달러(10조2046억원)가 소요된 오픈 AI의 챗GPT의 0.08%에 불과하다. 그러면서도 고품질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해 초기에는 '가성비 좋은 생성형 AI'라고 칭송받았지만 보안 사고의 우려가 제기됨에 따라 기관과 기업, 개인 사용자들로부터 외면받고 있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실제 딥시크는 이용 약관을 통해 사용자의 △생년월일 △이름 △이메일 주소 △전화번호 △비밀번호 △텍스트·오디오 입력 △프롬프트 △업로드된 파일 △피드백 △채팅 기록 △기타 콘텐츠 △인터넷 프로토콜(IP) 주소 △고유 장치 식별자 △쿠키 △접속 장치 모델 △운영 체제 △키 입력 패턴·리듬 △시스템 언어 △충돌 보고서 △성능 로그 등 서비스 관련 진단·성능 정보 △결제 주문·거래 정보를 수집한다고 명시해뒀다.
또 이 정보들을 한데 모아 중국 내 서버에 저장한다고도 공시해둬 정부와 기업들의 정보 보안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형국이다.
하정우 네이버 클라우드 AI 이노베이션 센터장은 “딥시크가 수집하는 정보가 매우 많아 이런 점을 고려해 사용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한편 중국 정부는 국가정보법·데이터 보안법·사이버 보안법 등을 근거로 자국 내 IT 기업에 데이터 접근 권한을 요구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이와 같은 데이터 접근권이 어떤 방식으로 이뤄지는지는 제대로 확인되지 않고 있다. 또한 이와 같은 방식으로 모은 개인 정보를 중국 정부가 활용한다는 분석도 꾸준히 제기된다.
이에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지난 6일 “데이터 프라이버시·안전을 고도로 중시해 관계 법령에 따라 보호한다“고 언급했다. 이어 “기업 또는 개인에게 위법한 형식으로 데이터를 수집하거나 저장하도록 요구한 적이 없고, 요구하지도 않는다"며 불안감을 불식시키려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다.
중국 정부와 딥시크에 대한 불신은 해외에서도 이어지고 있다.
이탈리아 개인정보 보호 기관은 지난달 29일 전세계 최초로 자국 내 애플 앱 스토어와 구글 플레이 스토어에서 딥시크 앱을 전면 차단했다. 호주·대만은 뒤이어 정부 소유 기기에서의 딥시크 사용을 금지했다. 일본 내각관방은 공식적으로 딥시크를 금지하지는 않았지만 수집한 자료에 대해서는 중국 법령이 적용된다는 이유로 이용 자제를 권고했다. 아울러 영국과 유럽 연합(EU) 회원국들도 딥시크의 위험성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다.
미국에서는 국방부·해군·항공우주국(NASA) 등 일부 연방 기관이 이미 딥시크 접속을 막아둔 상태이고, 주 정부 차원에서는 텍사스주가 가장 먼저 나섰다. 하원 정보위원회 소속 대런 라후드 공화당 의원과 조시 고트하이머 민주당 의원은 정부 소유 기기에서 딥시크 챗봇 서비스를 금지하는 내용을 이른 시일 내에 발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