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광호

spero1225@ekn.kr

나광호기자 기사모음




건설업계, 올해 매출 목표 대폭 낮췄다…작년 대비 최대 2.7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2.09 10:39

2023~2024년 착공 물량 감소 등 부동산 시장 침체 심화 영향

아파트 신축

▲서울의 한 신축 아파트 공사 현장. 사진=연합뉴스

부동산 경기 침체가 장기화되고 정치적 불확실성이 계속되면서 국내 주요 건설사들의 올해 매출 목표가 지난해 보다 크게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2023년과 지난해 착공 물량이 줄어들었고, 신동아건설의 기업회생절차 신청 등 경영난에 시달리는 건설사들이 대폭 늘어난 탓이다.


9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삼성물산 건설부문의 올해 매출 목표는 15조9000억원 규모로, 지난해 매출(18조6550억원) 대비 2조7550억원 적다.


지난해 32조6944억원의 매출을 올린 현대건설의 경우 30조3837억원의 목표를 잡았다. 대우건설의 올해 목표는 8조4000억원으로 지난해 매출(10조5036억원) 대비 2조원 가량이나 줄었다.


DL이앤씨 역시 지난해(8조3184억원) 보다 5000억원 이상 낮은 7조8000억원을 목표로 설정했다. GS건설의 목표(12조6000억원)도 지난해 실적(12조8638억원)을 소폭 하회한다.


업계는 주택 착공 물량이 대폭 감소한 것을 직접적인 원인으로 꼽고 있다. 예컨대 DL이앤씨의 경우 지난해 9119가구를 착공했지만 올해는 7940가구에 불과하는 등 사업 규모가 크게 줄었다.




건설사 매출은 수주 후 착공이 이뤄지면 공사 진행률에 따라 수주액이 매출로 반영되는 방식으로, 통상 당해연도를 포함한 최근 3년치 누적 공사가 반영된다.


2021~2023년 2만가구를 상회하던 GS건설의 아파트 분양 규모도 지난해 1만6000가구로 줄었고, 올해도 유사한 수준이 점쳐진다. 현대건설과 대우건설도 이같은 흐름과 무관치 않다. 삼성물산은 주택 사업 비중이 낮지만, 하이테크를 비롯한 대형 프로젝트가 준공됐다.


앞서 한국은행도 지난달 건설업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52로 전월 대비 2포인트(p) 하락했다고 설명했다. 은행권이 부실 위험을 고려해 건설업종에 대한 대출을 더 까다롭게 만드는 것도 업황 부진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