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10.23c20e97269540f39c0f97f4b328a9ff_P1.jpeg)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10일 서울 금융감독원에서 2025년 업무계획 기자간담회를 갖고 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우리금융지주의 소비자 보호, 운영상 근본적인 리스크 등에 대해 엄정한 기조를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다만 우리금융이 현재 추진 중인 동양생명, ABL생명 인수합병(M&A) 인허가와 관련해서는 최종 결정전까지 경영진과 긴밀히 소통한 후 '진정한 의미의 결론'을 도출하겠다고 했다.
하나금융지주가 지난해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개정한 후 함영주 회장 연임을 결정한 것과 관련해서는 “특정 인물, 특정 후보군이 눈에 들어오기 전에 좀 더 공정한 형태로 후보 선임 요건들을 정하는 게 좋은데, 실효적인 측면에서 부족한 측면이 있다"고 평가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10일 서울 여의도 금융감독원에서 열린 '2025년 업무계획' 기자간담회에서 우리금융 검사 결과에 따른 경영평가등급 산정시기 관련 질문에 “우리금융은 소비자 보호, 운영상 근본적인 리스크 등 엄정한 기조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며 “다만 상대 금융사를 백안시하거나 척결해야 할 대상으로 생각하는 건 아니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금감원에 인허가 신청 들어온 것이 보험사 M&A 건과 증권사 본인가가 있다"며 “최소 요건상 장애 요소가 크지 않은 증권사 본인가에 대해서는 조금 더 원활하게 진행시켜 금융사가 자기 체질을 확보하는데 필요한 것들을 당국이 발목 잡아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우리금융지주는 현재 동양생명, ABL생명 인수를 추진하고 있고, 우리투자증권은 투자매매업 본인가를 신청했다. 우리금융은 지난달 15일 보험사 M&A 승인 심사 신청서를 제출했으며, 검사 기한은 2개월이다.
금감원은 우리은행 등을 상대로 현장 검사를 벌인 결과 우리은행에서 손태승 전 우리금융 회장 친인척 관련 대출 730억원을 포함해 총 2334억원 규모의 부당대출을 적발했다고 지난주 발표했다. 금감원의 검사 결과를 토대로 우리금융지주의 경영실태평가 등급이 현재 2단계에서 3단계 이하로 하향 조정되면 보험사 인수가 타격을 입을 수 있다. 이 원장은 “2개월의 심사기간이 있지만, 금감원이 2개월을 다 쓰면 금융위원회에서 평가할 시간이 없기 때문에 (심사를) 신속하게 할 것"이라며 “금융위에 부담을 전가할 생각은 없고, 모든 책임은 금융위, 금감원이 함께 져야 한다"고 밝혔다.
이 원장은 “자료를 검토하는 과정에서 금융사와 충분히 소통하겠다"며 “재무적, 비재무적 요소 등을 충분히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하나금융이 지난해 12월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개정하고, 함 회장 연임 시 3년의 임기를 부여한 것에 대해 이 원장은 “기술적으로는 롱리스트가 작성되기 전에 바꿨기 때문에 지배구조 모범규준을 어긴 것은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다만 실효적인 의미에서 지배구조 모범규준의 취지를 보면 특정 인물, 특정 후보군이 눈에 들어오기 전 단계에서 후보 선임 요건들을 정하는 게 좋다"며 “그런 의미에서 보면 (하나금융은 취지를 지킨 정도가) 절반 정도밖에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특정 인물의 연임 여부는 (금감원이) 직접적으로 관여할 일은 아니다"며 “그러나 가급적 공정하게 보이려면 전 단계에서 연임 절차, 3연임 절차와 관련해 허들을 만들었으면 좋았을 것 같다는 아쉬움이 있다"고 밝혔다. 앞서 하나금융은 지난해 12월 이사 재임 연령을 만 70세까지로 하되, 재임 중 만 70세가 도래하는 경우 최종 임기를 해당 임기 이후 최초로 소집되는 정기주주총회일까지로 변경하는 내용의 지배구조 내부규범을 개정했다. 이사 재임 중 만 70세가 넘어도 주어진 임기를 채울 수 있도록 바꾼 것이다.
이어 하나금융지주 회장후보추천위원회(회추위)는 함영주 하나금융 회장을 차기 회장 최종 후보로 추천하며 임기를 3년으로 결정했다. 당초 규정에 따르면 1956년 11월생인 함 회장은 다음번 주총이 열리는 2027년 3월에는 자리에서 물러나야 하지만, 이번 개정으로 함 회장은 3년의 임기를 모두 수행할 수 있게 됐다.
이 원장은 “이제는 (하나금융) 정기주총에서 판단 받아야 할 문제"라며 “함 회장이 3년 재임으로 결론이 난다면, 본인이 추가 연임 관련 부담이 없는 상태에서 어떻게 승계구도를 만들지, 금융권이 미래 지향적인 지배구조를 이룩할 수 있을지 고민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