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달러 지폐. 사진=연합뉴스](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11.6908d0d9c9134b16a3450881df13e2f0_P1.png)
▲1달러 지폐. 사진=연합뉴스
미국 경제가 호황을 맞음에 따라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고 있고, 국내외 정세 불안정에 따라 안전 자산으로 분류되는 달러의 가치가 오르고 있다. 이에 따라 국내 산업군별 희비가 엇갈리고 있다.
11일 하나은행에 따르면 작년 원-달러 평균 환율은 1366.58원으로 2023년 대비 58.68원 높아졌다.
최근 달러 가치 상승의 주요 원인은 크게 네 가지로 요약된다. 미국 경제의 견조한 성장세에 따른 자금 유입과 연방준비제도(Fed)의 고금리 유지, 중동의 지정학적 갈등과 중국 경제의 불확실성에 따른 안전 자산 선호 현상이 주된 요인이다.
여기에 트럼프 행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로 한국을 포함한 주요국에 대한 고율 관세 부과가 예고되면서 달러 강세가 지속되고 있다.
계엄에 따른 탄핵 정국의 장기화로 정치적 불안정성까지 중첩돼 글로벌 투자 은행(IB)들은 올해 3분기까지 달러 강세가 이어질 것이라고 내다보고 있다.
블룸버그가 집계한 BNP 파리바·JP 모건·노무라·스탠다드 차타드·웰스파고·씨티 등 주요 IB들의 전망치를 종합해보면 원-달러 평균 환율은 올해 1분기 1433원, 2분기 1445원, 3분기 1445원이다. 노무라는 1500원까지도 예상하고 있다.
이처럼 요동치는 환율 시장으로 인해 국내 산업군에서는 업종별로 표정이 엇갈리는 모습이 포착된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A1 자주곡사포·K-10 탄약 운반 차량 모형(좌)과 한화오션 거제 조선소 전경. 사진=박규빈 기자·한화오션](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11.e2f9468501664fc386407ccc18fd3e55_P1.png)
▲한화에어로스페이스 K-9A1 자주곡사포·K-10 탄약 운반 차량 모형(좌)과 한화오션 거제 조선소 전경. 사진=박규빈 기자·한화오션
우선 방산업계는 고환율 상황을 반기는 분위기다. 통상 전차·자주곡사포·전투기 등 방산 제품 수출은 달러로 계약하는 시점보다 인도할 때 환율이 오르면 원화 환산 매출이 늘어나게 돼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지난해 처음 연 매출과 영업이익이 각각 10조 원, 1조원을 돌파했고, 방산 부문 실적이 매출 7조56억원, 영업이익 1조5659억원으로 전년 대비 70% 이상 증가했다. 특히 지난해 방산 부문 수주 잔고는 32조4000억원을 기록했다.
슈퍼 사이클을 맞은 HD현대·한화오션·삼성중공업 등 조선업계도 호황을 누리고 있다.
클락슨 신조 선가 지수는 2023년 162.67에서 2024년 189.38로 상승했다. 선종별 척당 선가는 LNG 운반선 2억6000만 달러, 초대형 유조선 1억2900만 달러, 초대형 컨테이너선은 2억7500만 달러를 기록 중이다.
작년 8월 대비 LNG 운반선과 초대형 컨테이너선의 신조 선가는 소폭 낮아졌지만 올 1월의 달러 환율이 당시 대비 101.64원이 높아져 여전히 순항 중이다.
![포스코 포항 제철소 제1 열연 공장에서 제품이 생산되고 있는 현장(좌)과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사진=포스코그룹·박규빈 기자](http://www.ekn.kr/mnt/file_m/202502/news-p.v1.20250211.0424edd3144c4904b86264d82fecfa16_P1.png)
▲포스코 포항 제철소 제1 열연 공장에서 제품이 생산되고 있는 현장(좌)과 아시아나항공 여객기. 사진=포스코그룹·박규빈 기자
반면 철강업계는 미국 정부의 관세 폭탄 예고로 비상이 걸렸다.
대미 수출 경쟁력이 떨어질 수밖에 없고, 철광석·석탄 등 원자재 수입 비용 증가와 환차손으로 인한 재무 부담도 가중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원-달러 환율이 10% 오르면 당기순이익이 각각 5830억원, 142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된다.
항공업계에서는 대한항공을 제외한 나머지 항공사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다.
아시아나항공은 지난해 매출이 7조 592억원으로 최대 규모를 기록했지만 영업이익은 622억원으로 전년 대비 84.5% 급감했다. 제주항공도 영업이익이 799억원으로 전년 대비 52.9% 감소했다. 업계는 여객 사업량 증가로 인한 운항·정비 비용 증가와 환차손이 실적 하락의 주요 원인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