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에너지경제신문 정재우 기자 경북도는 도내 의료 취약계층 외국인을 대상으로 필수적인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외국인 의료비 지원 시범사업을 2월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의료 사각지대에 놓인 외국인 주민들이 지역사회에 정착할 수 있도록 돕는 중요한 지원책이다.
지원 대상은 도내에 거주하는 등록 외국인 중 국민건강보험에 가입하지 못한 취약한 환자들이다. 특히 응급환자, 중증 환자, 정신질환자, 생계 곤란자 등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이들이 주요 대상이다.
지원 내용에는 입원비, 수술비, 외래진료비, 출산비 등 최대 200만 원까지 지원된다. 이 지원은 포항, 김천, 안동의 도립의료원에서 진료 시 제공된다.
현재 외국인은 국민건강보험에 직장 가입 또는 지역 가입을 통해 가입할 수 있지만, 대부분 일정한 요건을 충족해야 가입할 수 있다.
특히 유학 비자나 결혼이민자 등 일부 외국인은 입국 즉시 가입이 가능하나, 경제적 어려움이나 의사소통 문제로 보험에 가입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체류 기간이 짧거나 취업비자가 없는 외국인, 실직으로 보험 자격을 상실한 외국인들은 적기에 치료를 받지 못해 만성질환이나 합병증으로 발전할 위험이 크다.
경북도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외국인 주민들이 필수적인 치료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사업의 효과를 분석하고 보완해 정규 사업으로 전환할 예정이다.
또한, 도내 22개 시군과 협력해 지역별 의료기관을 추가 지정하고, 의료 통역 서비스와 방문 진료 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다.
경북도는 민간 의료기관 및 비영리 단체와 협력해 진료 지원뿐만 아니라 예방의료 서비스와 건강 상담까지 확대해, 외국인 주민들이 스스로 건강을 관리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정성현 경상도 지방시대정책국장은 “건강권은 기본적인 인권"이라며, “이번 사업을 통해 외국인 주민들이 최소한의 의료 서비스를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고, 안정적인 정착을 위한 책임 있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경북도는 외국인 주민들의 건강권 보장을 강화하고, 지역사회에 더욱 긴밀히 통합되는 계기를 마련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