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크리스토퍼 월러 미 연준 이사(사진=로이터/연합)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주요 인사가 올해 금리 인하가 여전히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비쳤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도 미국 인플레이션 위험이 크지 않을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했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이날 호주에서 열린 한 행사에서 최근 경제지표는 금리 동결에 대한 지지를 뒷받침하지만 인플레이션이 작년과 같은 모습을 보인다면 연준은 올해 어느 시점에 다시 금리인하로 돌아갈 수 있다고 밝혔다.
그는 “겨울철 인플레이션 둔화 중단이 작년처럼 일시적인 것으로 나타난다면 추가 완화가 적절할 것"이라며 “하지만 그것이 분명해지기 전까지는 정책 금리를 동결하는 것이 좋을 것"이라고 했다.
월러 이사는 또 최근 발표된 1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다소 실망스럽다"면서도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지표인 개인소비지출(PCE) 가격 지수 예측치는 덜 우려스럽다고 강조했다. 그는 1월 근원 PCE 가격지수 상승률이 전년 동기대비, 전월대비 각각 2.6%, 0.25% 올랐을 것이란 시장 예상치가 있다고 언급했다.
미 노둥부에 따르면 미국 1월 CPI는 전년 동월 대비 3.0% 상승해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2.9%)를 상회했다. 3%대 상승률은 작년 6월(3.0%) 이후 7개월 만이다. 전월 대비 또한 0.5% 상승한 것으로 나타나 전망치인 0.3%를 웃돌은 것은 물론, 2023년 8월(0.5%)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보였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와 식료품을 제외한 1월 근원 CPI는 전년 대비, 전월 대비 각각 3.3%, 0.4% 오르면서 시장 전문가 예상치(3.1%·0.3%)를 웃돌았다.
이와 관련해 월러 이사는 “인플레이션이 연초에 높게 나오는 패턴은 지난 몇년 동안 이어졌다"고 지적했다.
이어 “(지표가) 현시점에서의 기준금리 인하를 지지하지 않는다"면서도 기업들이 연초에 상품 가격을 올리는 경향이 있는 만큼 향후 몇분기 동안 내려갈 수 있다고 봤다.
그러면서 “향후 몇 달간 지표를 주시하면서, 1분기에 높은 인플레이션을 기록한 뒤 내려가는 패턴이 반복될지 평가할 것"이라며 올해 물가 흐름이 지난해와 비슷할 경우 연중 어느 시점에 기준금리 인하가 적절할 것이라고 말했다.
패트릭 하커 필라델피아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도 전날 비슷한 발언을 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하커 총재는 “지난 10년 동안 1월 CPI 수치는 10번 중 9번 서프라이즈를 안겼다"고 말했다.
월러 이사는 이와 함께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 대해 “가격을 완만하게(modestly) 비지속적(non-persistent)인 방식으로 올릴 것"이라고 말했다.
트럼프발(發) 관세 전쟁으로 불확실성이 고조됐지만 이 때문에 연준의 결정을 미루면 안된다는 주장이다. 그는 “경제 환경에 대한 큰 불확실성에 직면하더라도 데이터 기반으로 움직여야 한다"며 “경제적 불확실성이 사라지기를 기다리는 것은 정책 마비를 초래하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관세 등이 물가에 미치는 영향이 클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행정부 내에서) 논의 중인 다른 정책들은 공급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인플레이션에 하방 압력을 가할 수 있다"고 말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월러 이사는 트럼프 대통령이 집권 1기 당시인 2020년 지명한 인사다. 블룸버그는 월러 이사가 트럼프 2기 행정부에서 차기 연준 의장 후보군에 오를 수 있다고 조명한 바 있다.
연준은 지난해 9월부터 3차례 연속 이어온 기준금리 인하 행진을 멈추고 기준금리를 지난달 4.25∼4.50%로 동결한 바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당시 기자회견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공약인) 관세·이민·재정정책, 규제와 관련해 어떤 일이 일어날지 아직은 알 수 없는 상황"이라며 구체적인 정책을 기다리겠다는 입장을 밝혔고, 다른 연준 인사들도 금리 인하 신중론에 동조했다.
이날 미셸 보먼 연준 이사는 정책 불확실성 등을 감안할 때 추가 금리 인하를 위해서는 인플레이션 둔화에 대한 더 큰 확신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준금리를 대폭 내려야 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