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미나허브가 실무자를 대상으로 한 '이차전지 핵심소재 및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재사용 집중교육 세미나'를 오는 4월 15일과 16일, 서울 여의도 FKI타워 컨퍼런스센터 2층 사파이어홀에서 개최한다고 밝혔다.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사용 후 배터리의 재활용과 재사용이 중요한 산업적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시장조사 기관 SNE리서치에 따르면, 글로벌 폐배터리 발생량은 2023년 약 18GWh에서 2030년 338GWh, 2040년 3,339GWh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에 따라 배터리 재활용 산업도 급성장하여 2023년 108억 달러였던 시장 규모가 2030년 424억 달러, 2040년에는 2,000억 달러 이상으로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차전지의 필수 구성 요소인 양극재, 음극재, 전해질은 배터리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기술로 꼽힌다. 업계에서는 더 높은 에너지 밀도와 안전성을 갖춘 소재 개발에 집중하고 있으며, 양극재는 배터리 용량과 출력을 좌우하는 요소로 고니켈 기반 신소재가 주목받고 있다. 또한, 음극재는 흑연에서 실리콘·리튬 복합 소재로 변화하면서 효율성이 개선되고 있으며, 전해질 분야에서는 액체 전해질을 대체할 고체 전해질 기술이 차세대 배터리 개발의 핵심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소재 혁신은 배터리의 성능 향상, 안전성 확보, 수명 연장과 직결되며, 이차전지 산업 경쟁력의 핵심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
이번 세미나는 세미나허브가 주최하고 배터리다이브와 아이씨엔이 후원하는 행사로, 4월 15일에는 '실무자를 위한 이차전지 핵심소재(양극재, 음극재, 전해질) 집중교육 세미나'가 진행된다. 이날 세미나에서는 △배터리 구조 및 원리 △층상계 양극소재 기술 △스피넬/올리빈계 양극소재 기술 △탄소/흑연계 음극 기술 △실리콘계/리튬계 음극기술 △액체전해액 △고체전해질 관련 발표가 이루어진다.
4월 16일에는 '실무자를 위한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재사용 집중교육 세미나'가 열린다. 주요 내용으로는 △전기차 배터리 재활용 현황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 파쇄 산물(Black Mass) 습식 제련 기술 △배터리 침출액으로부터 유가금속 회수 기술 △사용후 배터리 재활용·재사용 기술 관련 배터리 특성 △안전성과 경제성을 고려한 재사용 배터리 출력 설계 △글로벌 규제 대응을 위한 친환경 차세대 재활용 기술 △재사용 배터리 동향 및 정부 정책 △재사용 배터리 안전한 사용 △재사용 배터리 검사제도 및 인증 등에 대한 발표가 진행될 예정이다.
세미나허브 관계자는 “전기차 시장이 확대됨에 따라 배터리 재활용과 이차전지의 핵심 소재가 더욱 중요한 산업 이슈로 부상하고 있다"며 “이번 세미나는 기업 실무자들이 최신 기술과 글로벌 동향을 파악하고, 지속가능한 배터리 산업 구축을 위한 전략을 수립하는 데 실질적인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세미나 사전 등록은 4월 9일까지이며, 행사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세미나허브 홈페이지로 문의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