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폴더블폰 ‘흥행 밀물’ 들어온다···삼성전자 ‘모바일 주변기기’ 띄우기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7.27 11:00

갤럭시 Z 7시리즈 국내 사전판매 104만대 ‘역대 최다’

워치8 등 선보이며 고객 心 정조준···갤럭시 버즈 마케팅도 활발

노태문 “갤럭시 링 업그레이드” 선언···첫 XR 기기 ‘프로젝트 무한’도 눈길

삼성전자 갤럭시 워치 울트라 티타늄 블루 제품 이미지.

▲삼성전자 갤럭시 워치 울트라 티타늄 블루 제품 이미지.

삼성전자가 갤럭시 Z 7시리즈 흥행을 등에 업고 '모바일 주변기기' 시장 확장에 나선다. 갤럭시 생태계를 공유하는 제품 판매를 늘려 수익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새로워진 '갤럭시 링'과 첫 확장현실(XR) 기기 '프로젝트 무한' 등도 출격을 준비 중이다.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상품성을 개선한 '갤럭시 워치8' 시리즈를 25일부터 국내에 판매하기 시작했다.


오는 9월30일까지 제품을 구매한 고객에게는 삼성닷컴에서 사용 가능한 '워치 정품 밴드와 액세서리 20% 할인 쿠폰' 3장을 제공할 계획이다. 삼성 헬스 앱에서 러닝 코치 기능을 활용한 체험 미션 '갤럭시 러닝Up 챌린지'도 진행한다.


갤럭시 워치8 시리즈는 Z 폴드와 마찬가지로 '역대 가장 슬림한 디자인'을 갖춘 게 특징이다. 전작과 비교하면 두께가 11% 얇아졌다. 색다른 감성을 원하는 고객들을 위해 물리 회전 베젤과 퀵 버튼을 탑재한 아날로그 워치 감성 '갤럭시 워치8 클래식'도 나왔다.


무선 이어폰 '갤럭시 버즈' 판매 전략도 새롭게 세웠다. 매일유업, 성심당 등 유통업체와 협업을 통해 전용 케이스를 선보이는 등 '감성 마케팅'을 전개하고 있다.




삼성전자는 반지처럼 착용하는 '갤럭시 링' 성능도 향상시킬 계획이다. 회사는 지난해 7월 '파리 언팩'에서 갤럭시 링을 처음 소개했지만 이달 초 열린 '뉴욕 언팩'에서는 신제품을 선보이지 않았다.


노태문 삼성전자 DX부문장 직무대행(사장)은 이와 관련 “갤럭시 링 첫 세대와 대비해 개선된 건강 측정 기능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업계에서는 신제품에 피를 내지 않고도 측정하는 '비침습식 혈당 측정' 기능이 적용될 것으로 보고 있다.


삼성전자가 연내 출시할 예정인 XR 전용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 제품 이미지.

▲삼성전자가 연내 출시할 예정인 XR 전용 헤드셋 '프로젝트 무한' 제품 이미지.

연내 출시가 예상되는 '프로젝트 무한'은 삼성전자 입장에서 최대 야심작이다. 구글과 협업해 내놓는 첫 XR 헤드셋이기 때문이다.


XR(eXtended Reality)은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과 더불어 현실과 가상 세계가 융합된 혼합현실(MR)까지 아우르는 개념이다. 애플·메타 등 글로벌 기업들이 시장 확장에 주력하는 가운데 '구글과 동맹'이라는 전략을 구사하는 만큼 판매 확대를 위해 공격적인 행보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전자는 이와 별도로 구글·젠틀몬스터와 협업해 '스마트 안경'도 출시할 방침이다.


시장조사기관 포춘비즈니스 인사이트에 따르면 상호연결 서비스 등을 포함한 전세계 XR 시장 규모는 지난해 기준 1840억달러(약 250조원) 수준이다. 앞으로는 연평균 30% 이상 성장해 오는 2032년 1조6250억달러(약 2213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삼성전자가 모바일 주변기기 생태계 확장에 힘을 쏟는 것은 갤럭시 S 및 Z 시리즈 흥행의 후광 효과를 크게 누릴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그간 회사 실적을 견인해온 플래그십 모델 S 시리즈에 이어 Z 시리즈 저변도 확대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회사를 자극하고 있다. 25일 판매가 시작된 갤럭시 Z 7시리즈는 국내 사전판매만 104만대로 '역대 최다' 신기록을 갈아치운 상태다.


삼성전자 모바일 사업부는 연간 기준 '상고하저' 실적 흐름을 보여왔다. 지난해 기준 분기별 영업이익을 살펴봐도 1분기 3조5100억원, 2분기 2조2300억원, 3분기 2조8200억원, 4분기 2조1000억원으로 감소 추세다. 통상 S시리즈가 나오는 1분기에 출시되는 영향이다.


3분기께 나오는 Z 시리즈가 흥행에 성공하고 모바일 주변기기 판매까지 늘어날 경우 매 분기 영업이익을 최대치로 끌어올릴 수 있는 셈이다. 갤럭시 Z 플립·폴드 7 성공이 예감되는 시점에 삼성전자가 갤럭시 워치, 링, 프로젝트 무한 등 판매 전략에 신경을 쓰고 있는 배경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삼성전자 주력인 반도체 사업부가 시기별로 실적 격차가 큰 만큼 모바일은 최대한 안정적인 실적을 내줄 필요가 있다"고 짚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