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여헌우

yes@ekn.kr

여헌우기자 기사모음




‘구독경제’ 전성시대… 생활패턴·기업 마케팅 확 달라진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2.19 15:23

대한상의 ‘최근 소비자 구독서비스 이용실태’ 조사

삼성·LG ‘가전 구독’ 홍보 삼매경···내수 포화에 렌털 품목 다양화 시도

삼성전자 매장에서 고객이 '뉴 갤럭시 AI 구독클럽' 내용을 확인하고 있다.

▲삼성전자 매장에서 고객이 '뉴 갤럭시 AI 구독클럽' 내용을 확인하고 있다.

'구독경제'가 본격적으로 우리 생활에 뿌리내리면서 소비자들의 생활패턴과 기업의 마케팅 전략이 달라지고 있다. 고객들이 현재 가장 많이 구독 중인 서비스는 동영상 스트리밍이지만 관심도가 가장 높은 분야는 생성형 인공지능(AI)이나 건강·생활가전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삼성전자, LG전자 등도 고가 제품의 구독 상품 홍보에 열중하며 새로운 수요를 창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9일 대한상공회의소가 시장조사기업 마크로밀 엠브레인과 함께 조사한 '최근 소비자 구독서비스 이용실태' 분석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이용해본 구독서비스는 동영상 스트리밍(60.8%)으로 나타났다. 이어 쇼핑 멤버십(52.4%), 인터넷·TV 결합상품(45.8%), 음원 및 도서(35.5%), 정수기(33.8%), 외식배달(32.5%) 순이었다. 조사는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펼쳐졌다.


'신규로 이용해보고 싶은 구독'이라는 질문에 대한 답변은 달랐다. 전체 소비자 94.8%가 구독서비스를 이용해 본 경험이 있는 가운데 신규로 가장 이용해보고 싶은 구독서비스는 세대별로 다양하게 갈렸다. 20~30대는 생성형 AI 서비스, 40~60대는 안마의자, 피부 미용기기 등 건강·생활가전을 가장 많이 꼽았다.


세대별 신규 구독서비스 선호도.

▲세대별 신규 구독서비스 선호도.

구독경제의 경우 소비자는 초기 부담 없이 맞춤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기업은 안정적인 수익원 확보와 효율적인 고객 관리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소비자들이 꼽은 구독서비스의 장점은 최신 제품과 서비스 이용(69.9%), 개인 맞춤형 서비스 제공(64.9%), 초기 저렴한 비용(58.8%) 등을 들었다. 단점으로는 월정액 관리 부족으로 인한 낭비(77.4%), 해지 어려움(47.2%) 등을 지적했다.


우리나라 소비자들은 1인당 3~4개의 구독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며, 월평균 지출액은 3만 원 이하가 가장 많았다. 현재 이용하고 있는 구독서비스 개수를 묻는 질문에 가장 많은 39.8% 소비자가 3~4개라고 답했다. 뒤를 이어 1~2개 33.9%, 5~6개 17.2%, 7개 이상 9.1% 순으로 나타났다.




이은철 대한상의 디지털혁신팀 팀장은 “구독경제 모델은 경기 불황 속에서도 합리적인 비용으로 개인 맞춤형 서비스와 최신 상품을 경험할 수 있어 최근 소비 트렌드에 부합한다"며 “국내뿐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도 수요가 확대되는 추세인 만큼, 기업들은 소비자 니즈에 최적화된 구독모델을 개발해야 한다"고 짚었다.


국내 주요 기업들은 이같은 변화를 감지하고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삼성전자는 작년 12월 'AI 구독클럽'을 론칭했다. TV, 냉장고, 세탁기, 건조기, 청소기 등 가전제품은 물론 PC, 태블릿, 스마트폰 등으로 범위를 확장하며 이를 적극적으로 알리고 있다. 삼성전자가 지난달 24일부터 시작한 '뉴 갤럭시 AI 구독클럽'은 고객들의 시선을 한 몸에 받고 있다. 사전 판매에서 자급제 예약 고객 5명 중 1명이 해당 구독서비스에 가입했을 정도다.


LG전자가 최근 출시한 'LG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AI+ 360˚ 공기청정기' 제품 이미지. 이 제품을 구독 상품으로 이용하면 제품 상태 점검, 필터 교체,

▲LG전자가 최근 출시한 'LG 퓨리케어 오브제컬렉션 AI+ 360˚ 공기청정기' 제품 이미지. 이 제품을 구독 상품으로 이용하면 제품 상태 점검, 필터 교체, 무상수리 등 혜택을 제공해준다.

LG전자는 2023년부터 판매점에서 에어컨, 세탁기, TV, 노트북 등을 구독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했다. 이후 품목을 확대하고 관련 혜택도 강화하며 이용자들을 유혹해왔다. 작년 말 기준 LG전자가 제공하는 가전 구독 라인업은 23종에 이른다.


이밖에 식품기업 hy는 '펫쿠르트 왈' 정기구독 이벤트를 진행 중이다. 카카오뱅크는 '똑똑한 구독생활' 프로모션을 펼치고 있다. 이미 전통적으로 구독 수요층이 탄탄한 정수기, 안마의자 등 업계는 특별한 케어 서비스 등을 추가하며 차별화를 꾀하고 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