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비자심리지수 추이.(자료=한국은행)
지난 2월 소비심리가 3년 8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높아졌다. 단 12·3 비상계엄 사태 이전 수준으로는 아직 회복하지 못했다.
한국은행이 20일 발표한 소비자동향조사 결과를 보면 2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95.2로 전월 대비 4.0포인트(p) 상승했다. 지난 2021년 6월(5.4p) 이후 상승 폭이 가장 컸다. 한은은 정치적 상황 안정 기대, 정부의 산업 지원 정책에 대한 기대 등으로 CCSI가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CCSI는 지난해 12월 계엄 사태 충격에 따라 코로나19 팬데믹 당시인 2020년 3월(-18.3p) 이후 최대인 12.3p 떨어졌다. 이후 지난 1월에 3.0p 반등했고 2월에도 상승세를 지속했다. 하지만 계엄 전인 지난해 11월(100.7) 수준에는 아직 도달하지 못했다.
CCSI는 소비자동향지수(CSI)를 구성하는 15개 지수 중 현재생활형편·생활형편전망·가계수입전망·소비지출전망·현재경기판단·향후경기전망 등 6개 지수를 이용해 산출한 지표다. 지수가 100보다 크면 소비자 기대 심리가 장기평균(2003∼2024년)과 비교해 낙관적이란 의미고 100보다 작으면 비관적이란 뜻이다.
전월과 비교하면 CCSI 구성 6개 지수 중 향후경기전망(73)이 가장 큰 폭(8p)으로 상승했다. 생활형편전망(93)과 현재경기판단(55)은 모두 4p, 소비지출전망(106)은 3p, 가계수입전망(97)은 1p 각각 높아졌다. 현재생활형편은 87로 전월과 같았다. 한은은 “미국 통상정책 관련 불확실성이 크고 정치적 불확실성도 남아 있어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했다.
2월 주택가격전망지수(99)는 전월 대비 2p 낮아졌다. 지난해 3월(95) 이후 최저치다. 금리수준전망지수(99)는 2p 높아졌다. 미국 기준금리 인하 지연 예상 등의 영향이 반영됐다.
향후 1년간의 물가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전월 대비 0.1%p 하락한 2.7%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는 지난 6~13일 전국 250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고 2321가구가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