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희순

hsjung@ekn.kr

정희순기자 기사모음




中企 “1400원대 고환율 언제까지”…절반이 ‘고통’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2.20 15:53

중기중앙회 ‘고환율 관련 중소기업 실태조사’ 발표
적정환율 1300원대 불구 1400원대에 51% “피해”
당분간 상승세에 위기감…대출연장·금리인하 절실

환율 급등에 따른 피해 유형

환율 급등에 따른 피해 유형

▲출처=중소기업중앙회

국내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이 '환율 급등'으로 피해를 보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더욱이 원·달러 환율 상승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해 중소기업의 고통이 가중될 것으로 우려되면서 정부 차원의 대출만기 연장, 금리인하 같은 지원 대책이 시급하다는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수출입 중소기업 51.4%, “환율 급등으로 피해 봤다"

20일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수출입 중소기업 360개사를 대상으로 진행한 '고환율 관련 중소기업 긴급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에 따르면, 최근 환율 급등으로 피해가 발생했다고 응답한 중소기업 비중은 전체 조사 기업의 약 51.4%를 차지했다. 특히, 수출 없이 수입만 하는 기업의 피해 발생 비율은 82.8%로 높게 나타나 환율 상승의 고통이 심한 것으로 조사됐다.


수입은 하지 않고 수출만 하는 중소기업도 '이익 발생했다' 답변(25.5%)보다 '피해 발생했다' 답변(26.2%)이 더 많았다.




환율 급등에 따른 피해(복수응답)는 '환차손'과 '환율 상승으로 인한 생산비용 증가'가 각각 51.4%로 조사됐다. 또 수입비용 증가로 인한 가격 경쟁력 저하(49.2%), 환율 상승분에 대한 납품단가 미반영(40.0%)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조사 기업의 70.3%가 수입 비용이 '1억 원 미만' 증가했다고 답했고, '1억~3억원 미만' 증가했다는 비중이 12.8%, '3억~5억원 미만' 증가했다는 비중은 8.6%로 나타났다.


수출·입 중소기업들은 고환율로 신음하고 있지만, 업계는 '강(强)달러 기조'가 쉽사리 바뀌지 않을 것이라 전망하고 있다.


이번 중기중앙회 조사에서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에 따라 환율이 상승할 것이라는 의견은 전체의 66.4%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14.2%)보다 4~5배 훌쩍 뛰어넘었다.


앞으로 환율 전망도 '먹구름'…달러당 100원 이상 낮아져야 '숨통'

중소기업들은 해외통상을 통해 적자를 면할 수 있는 '환율 마지노선'을 1달러 기준 평균 1334.6원으로 예상했지만, 이는 20일 기준 환율 1438.2원과 100원 이상 큰 격차를 드러낸 수치다.


응답 기업들은 조사 시점(1월 중순~말일) 기준 영업 적자를 보기 시작하는 '손익분기점 환율'을 1달러 기준 평균 1334.6원이라고 언급했다. 다시 말해 원달러 환율이 100원 이상 낮아져야 적자를 면할 수 있다는 의미다. 더욱이 기업의 목표 영업이익 달성을 위한 '적정 환율'은 마지노선보다 더 낮은 평균 1304.0원으로 제시됐다.


따라서, 중소기업들은 최근 환율 상승에 대응한 정부 지원정책으로 '대출만기연장 및 금리인하'(42.8%)를 가장 많이 원했다. '운임 및 선복 등 물류지원 확대'(26.7%), '환변동 보험 및 무역보증 지원'(26.1%) 등도 희망했다.


다만, 환율 급등으로 이익이 발생한 기업들은 '바이어 발굴 등 수출 마케팅 지원 확대'(33.3%)를 요구해 상대적인 온도 차이를 드러냈다.


김철우 중기중앙회 통상정책실장은 “최근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 수준에 머물면서 수출입 중소기업의 피해가 늘고 있다"며 “정부의 적극적인 환율안정 대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