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22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2025 유럽 크론병 및 대장염학회'(ECCO 2025)의 셀트리온 홍보부스 모습. 사진=셀트리온
셀트리온과 CJ바이오사이언스가 유럽에서 열리는 장질환 학회에 참가해 올해 36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는 '염증성 장질환(IBD)' 치료제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선다.
21일 업계에 따르면 셀트리온은 19~22일(현지시간) 독일 베를린에서 열리는 '2025 유럽 크론병 및 대장염학회'(ECCO 2025)에 참가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SC'(미국제품명 짐펜트라)' 등 셀트리온이 보유한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4종을 소개한다.
국내 참가기업 중 유일하게 단독 부스를 운영하는 셀트리온은 먼저 크론병 분야에서 세계적 권위를 가진 미국 마운트 시나이 아이칸 의대의 장 프레드릭 콜롬벨 교수가 중등도 및 중증 궤양성 대장염(UC) 환자를 대상으로 한 램시마SC의 임상 3상 사후분석 데이터를 구두로 발표했다.
이어 21일에는 램시마SC 임상 3상 사후분석 연구결과 3건을 포스터로 공개하고 램시마SC를 활용한 염증성 장질환 조기치료를 주제로 심포지엄도 개최할 예정이다.
특히 셀트리온은 김형기 글로벌판매사업부 대표이사 겸 부회장이 직접 현지에서 램시마SC를 비롯해 지난해 말 출시한 '스테키마' 등 셀트리온이 보유한 IBD 치료제 4종에 대한 마케팅 활동을 진두지휘할 방침이다.
하태훈 셀트리온 유럽본부장은 “램시마SC에 대한 다양한 연구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공개되면서 평년보다 1.5배 이상 많은 방문객이 셀트리온 부스를 방문하고 있다"며 “유럽 IBD 치료제 시장에서 리더십과 장악력을 더욱 공고히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CJ제일제당의 제약헬스케어 계열사 CJ바이오사이언스는 이번 행사에서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염증성 장질환 치료 신약 'CJRB-201'의 전임상 연구성과를 발표한다.
CJRB-201은 자체 인공지능(AI) 기반 신약개발 플랫폼인 '이지엠 플랫폼'을 활용해 발굴한 마이크로바이옴 기반의 염증성 장질환 치료 신약 후보물질로, 동물실험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등 주요 질환 지표를 개선시키는 것이 확인됐다.
마이크로바이옴은 인체 내 미생물 군집의 총칭으로, 주로 대장 내에 분포하며 유익균 활성화와 유해균 억제를 통해 각종 장질환은 물론 면역질환, 심혈관질환, 뇌신경질환 치료제까지 개발할 수 있는 차세대 신약 분야로 꼽힌다.
CJ바이오사이언스 관계자는 “CJRB-201이 기존 항체치료제(항체를 인체에 주입해 바이러스를 공격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치료제)와 유사한 효과를 보이면서도 안전성은 뛰어난 새로운 치료법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며 “내년부터 CJRB-201의 임상 개발을 본격화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올해로 20회를 맞은 ECCO는 세계 권위의 염증성 장질환 학회로 올해는 세계 IBD 전문가 8000여명이 참석할 전망이다.
염증성 장질환은 입부터 항문까지 모든 소화기관에서 만성 염증을 일으킬 수 있는 만성 소화기질환으로, 자가면역질환인 궤양성 대장염을 비롯해 크론병(대장 등 소화관 점막에 만성 염증이 일어나는 자가면역질환), 베체트병 등 치료가 까다로운 난치병으로 꼽힌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모르도르인텔리전스에 따르면 염증성 장질환 치료제 글로벌 시장규모는 올해 257억달러(약 36조원)에서 오는 2030년 331억달러(약 47조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