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정희순

hsjung@ekn.kr

정희순기자 기사모음




세라젬, 북미 헬스케어시장 공략 ‘깃발 올랐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2.23 16:05

미국서 보폭 확대…LA에 체험형 매장도
안마의자 이어 척추의료기기 출시 임박
中·동남아·印 위주서 美 수출선 다변화


리디아고

▲세라젬의 글로벌 앰배서더 리디아 고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취득한 마스터 V7.

토털 메디컬헬스를 지향하는 세라젬이 올해 북미시장을 중심으로 해외시장 공략에 고삐를 바짝 죄고 있다.


경쟁사 바디프랜드와 국내 헬스케어기기 시장을 선점하고 있는 세라젬은 포화상태에 이른 국내 시장보다는 해외시장에서 외형성장을 모색한다는 전략이다.


23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세라젬이 미국 시장에서 제품군을 빠르게 늘려나가며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 현재 세라젬 미국법인 홈페이지에서는 지난해 국내에서 출시한 안마의자 '파우제 M6'의 선주문을 받고 있으며, 뷰티 디바이스 '메디스파 프로'도 조만간 선보일 예정이다. 척추관리 의료기기 '마스터 V7'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허가를 취득하며 현지 출시를 위한 준비를 마쳤다.


세라젬은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스앤젤레스(LA)에 체험형 매장인 웰카페를 운영 중이며, 시카고와 뉴욕을 포함해 총 10곳에서 지점을 운영 중이다.


세라젬은 설립 초기부터 미국 시장 문을 두드려왔으나, 사실 그간 미국에서 이렇다 할 두각을 나타내진 못했다. 세라젬이 지난해 공시한 연결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3년 연매출 5847억원 중 1846억원을 해외에서 냈는데, 이중 70%가 중국(1296억원)에서 나왔다. 그밖에 동남아 및 인도 시장에서 402억원의 매출을 냈고, 중남미(74억원)와 유럽(59억원), 러시아(15억원) 순이었다.




하지만 세라젬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2년 연속 세계 최대 가전 정보기술(IT) 전시회 '국제전자제품박람회(CES)'에 참가하며 줄기차게 미국 시장을 두드리고 있는 분위기다.


세라젬 관계자는 “미국은 의료기기 시장이나 가전 시장에서 가장 큰 규모를 가진 시장이고, 마사지를 비롯한 카이로프랙틱(손이나 간단한 도구 및 장치를 이용해 척추 등 교정치료를 하는 대체의학) 시장 규모만도 45조원으로 추산된다"며 “세라젬의 전체 해외 매출에서 미국의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조금씩 성장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아직 세라젬이 지난해 매출을 공개한 것은 아니지만, 전체 매출에서 해외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에도 상승했을 것으로 보인다. 국내 안마기기 시장이 포화 상태에 다다른 반면, 해외 시장의 경우 꾸준히 우상향하고 있어서다.


지난 2022년 19.4%에 그쳤던 세라젬의 해외매출 비중은 2023년 31.6%로 치솟았다. 당시 국내 매출은 34%가량 줄었으나, 수출 주요국(중국, 동남아 및 인도, 중남미, 유럽, 러시아)의 매출은 모두 늘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