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보조금 대신 지분 내놔”…美 정부, 인텔 이어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도 노리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8.20 11:20

트럼프 행정부, 반도체법 보조금 지급 대신 지분 인수
러트닉 美 상무장관, 인텔 10% 지분 취득 공식 확인
對美 투자 나선 다른 기업에도 추진…“보조금 너그럽다”
삼성전자 19일 시가총액 414조원…美, 지분 1.59% 확보할 가능성

Trump Wars Fact Focus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미 반도체기업 인텔의 지분 10% 취득을 추진하는 가운데 삼성전자, TSMC 등 미국에 투자한 기업들의 지분도 인수하는 방안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19일(현지시간) 로이터통신은 소식통 2명을 인용해 “하워드 러트닉 미 상무장관은 반조체지원법(CHIPS 법)에 따른 보조금으로 미국에 공장을 짓는 제조업체들의 지분을 미국 정부가 인수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보도했다.


미국 정부가 기업에 보조금을 주는 대가로 지분을 확보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전임 조 바이든 행정부 당시 상무부는 527억달러(약 73조7000억원) 규모의 보조금을 마련해 인텔에 보조금 109억달러를 지급하기로 했고 삼성전자는 47억5000만달러(약 6조6000억원), TSMC는 66억달러(약 9조2000억원), 마이크론은 62억달러(약 8조6000억원)로 확정했다. SK하이닉스도 최대 4억5800만달러(약 6400억원) 보조금을 받기로 돼 있다.


미국 정부의 이같은 움직임은 러트닉 장관이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 두 명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도 반도체법 관련 논의에 참여하고 있지만 러트닉 장관이 주도권을 쥐고 있다"며 “러트닉 장관이 지분 인수 방안을 밀어붙이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 또한 이 방안을 마음에 들어 한다"고 로이터에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이 “지나치게 너그럽다"며 상무부가 재협상을 벌이고 있다고 지난 6월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미 백악관은 러트닉 장관이 인텔 지분 10% 인수하려는 계획을 확인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취재진에 “대통령은 국가 안보와 경제적 관점 모두에서 미국을 최우선 순위에 두고 있다"며 “(지분 인수는) 한 번도 실행되지 않은 창의적인 아이디어"라고 말했다.


러트닉 장관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반도체법에 따른 보조금을 대가로 미국 정부가 인텔 지분을 확보해야 한다는 주장했다. 앞서 블룸버그통신은 미국 정부가 인텔 지분 10% 인수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한 바 있다. 현실화된다면 미국 정부가 인텔의 최대주주로 오르게 된다.


러트닉 장관은 “우리가 지불한 돈에 지분을 받아야 한다"며 “우리는 약속한 돈을 전달할 것이고 이는 바이든 행정부에서 이미 진행됐다. 그 대가로 지분을 받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바이든 행정부는 사실상 인텔에 무상으로 자금을 지원했고 TSMC에도 돈을 공짜로 줬다"며 “다른 기업에도 돈을 그냥 줬다"고 지적했다.


러트닉 장관은 다만 인텔 지분 인수로 기업의 경영권을 행사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그것은 경영권이 아니고 바이든 행정부의 보조금을 트럼프 행정부의 지분으로 전환하는 것"이라며 “표결권이 없다"고 설명했다.


미국 정부가 반도체 보조금 대가로 인텔 지분을 확보하는 것 처럼 삼성전자에도 동일하게 적용할 경우, 삼성전자 지분 약 1.59%를 취득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삼성전자에 확정된 보조금인 47억5000만달러(약 6조6000억원)를 19일 기준 시가총액(414조원)으로 나눈 수치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