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연 3%’도 찾기 어렵다…쑥 낮아진 은행 예금 금리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2.24 15:01

38개 정기예금 중 8개만 기본 3% 이상
3.1%가 가장 높아…5개 상품이 3%

은행채 1년물 금리 2.8%대로 낮아져
대출 금리는 역행…당국 “금리 인하” 압박

은행대출

▲서울에 설치된 현금자동입출금기(ATM기) 모습.

시중은행에서 연 3%대 금리의 정기예금이 사라지고 있다. 은행권이 기준금리 인하 영향을 빠르게 반영하면서 수신 금리를 낮추고 있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금융감독원은 은행들의 대출 금리에 기준금리 인하가 반영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하고 점검에 들어갔다.


24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이날 기준 시중은행의 1년 만기 단리 기준 38개 정기예금 중 8개 상품만 연 3%대의 기본금리를 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높은 기본금리를 주는 정기예금 상품은 NH농협은행의 NH올원e예금과 카카오뱅크의 정기예금으로 연 3.1%를 준다. 이어 전북은행의 JB 다이렉트예금통장이 연 3.05%의 기본금리를 주고, 농협은행 NH왈츠회전예금 II, Sh수협은행 헤이(Hey)정기예금, 광주은행 더(The)플러스예금, 우리은행 원(WON)플러스예금, 전북은행 JB 123 정기예금 등 5개 상품은 연 3%의 기본금리를 제공한다. 전달 취급 평균 금리와 비교하면 대체로 금리가 하락했다. 특히 수협은행의 헤이정기예금의 금리는 전월 취급 평균 금리(연 3.32%)에서 0.32%포인트(p) 낮아졌다.


우대금리를 적용할 경우 연 3%대의 금리를 주는 상품은 25개로 늘어나지만 우대조건을 만족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금리를 다 받기는 쉽지 않다. 우대금리를 적용할 경우 가장 높은 금리를 주는 상품은 iM뱅크의 iM주거래우대예금으로 연 3.31%의 금리를 주는데, 목돈굴리기예금 최초 가입, 신용카드 신규 발급 등의 우대조건을 만족해야 받을 수 있다.




KB국민은행은 이날부터 KB스타 정기예금의 1년 만기 기준 우대금리 포함 최고 금리를 연 3%에서 연 2.95%로 낮추기로 했다. 앞서 신한은행 또한 지난 20일 쏠편한 정기예금 최고 금리를 연 3%에서 연 2.96%로 하향 조정했다.


이처럼 은행권의 예금 금리가 빠른 속도로 낮아지는 것은 기준금리 인하 영향이 빠르게 반영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지난해 10월과 11월 두 차례 인하를 단행하며 기준금리를 0.5%포인트(p) 낮췄다. 현재 기준금리는 연 3%까지 떨어졌다. 이에 따라 은행의 예금 금리에 영향을 미치는 은행채(AAA·무보증) 1년물 금리는 기준금리 인하가 시작된 지난해 10월 24일 연 3.196%였는데, 이달 21일 기준 연 2.843%까지 낮아졌다.


빠르게 떨어지는 은행의 수신금리 인하 속도와 달리 은행의 대출 금리는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17개 국내 은행의 신규 취급액 기준 가계대출 평균 금리는 올해 1월 연 5.22%였는데, 지난해 10월(연 4.76%)에 비해 오히려 높아졌다.


금융당국은 은행권이 대출 금리에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해야 한다고 연이어 압박하고 있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24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대출 금리도 가격이라 시장 원리가 작동해야 한다"며 “이제는 은행들이 기준금리 인하를 반영할 때"라고 강조했다.


금감원은 은행권의 대출 금리 산출 근거 점건에 들어갔다. 금감원은 지난 21일 은행 20곳에 공문을 보내 차주·상품별 지표, 우대금리 적용 현황, 가산금리 변동 내역·근거 등의 내용이 담긴 자료를 제출할 것을 요구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