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셀트리온 본사 전경
셀트리온이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램시마' 등 주요 제품의 고른 성장에 힘입어 창립이래 처음 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셀트리온은 25일 경영실적 공시를 통해 지난해 연결기준 매출액 3조5573억원, 영업이익 4920억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전년대비 영업이익은 24.5% 감소했지만 매출은 63.4% 증가한 수치다. 이로써 셀트리온은 창립이래 처음 매출 3조원을 넘어섰다.
또한 지난해 4분기만 보면 매출 1조636억원을 기록, 단일분기 최초 매출 1조원을 돌파하기도 했다.
이러한 외형 성장은 램시마, 트룩시마, 허쥬마 등 기존 제품들이 안정적 성장세를 보인데다 램시마SC(미국제품명 짐펜트라), 유플라이마, 베그젤마 등 신규 제품이 모두 연간 최대 매출을 경신한 덕분으로 풀이된다.
지역별로는 유럽과 북미 등 글로벌 양대 시장 내 영향력 및 매출 확대가 두드러졌다.
유럽의 경우 신규 제품 매출 확대가 가속화되며 지난해 매출 1조5468억원을 기록했고, 북미에서도 트룩시마, 유플라이마, 짐펜트라, 베그젤마 등 매출 성장세가 이어지며 매출 1조원을 넘어섰다.
제품별로는 램시마가 정맥주사(IV) 제형으로만 매출 1조원을 처음 돌파, 글로벌 블록버스터 의약품으로 이름을 올리게 됐다.
시장조사기관 아이큐비아(IQVIA)에 따르면 램시마의 유럽시장 점유율은 지난해 3분기 기준 62%에 달하며, 피하주사제형인 램시마SC까지 합산하면 유럽 주요국가인 영국(88.8%), 프랑스(80.0%), 스페인(75.8%), 독일(73.8%) 등에서 압도적 점유율을 나타내고 있다.
올해는 바이오의약품 11개 제품의 라인업이 완성된 만큼 기존 제품의 안정적인 성장세와 신규 제품의 시장 확대 가속화를 발판으로 연매출 5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셀트리온은 앞으로도 꾸준한 R&D 투자를 단행, 오크레부스, 코센틱스, 키트루다, 다잘렉스 등 4개 제품의 바이오시밀러와 7개의 미공개 파이프라인을 추가 개발해 오는 2030년까지 총 22개의 바이오시밀러 포트폴리오를 완성한다는 계획이다.
신약 개발에도 본격적으로 뛰어들어 오는 2028년까지 총 13개 신약 후보물질에 대한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현재 항체약물접합체(ADC) 신약 'CT-P70'의 IND를 제출하며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
셀트리온 관계자는 “지난해는 셀트리온 합병법인 출범 첫 해로, 핵심 사업인 바이오의약품의 글로벌 처방 확대를 통한 외형 성장을 실현한 한 해였다"며 “올해는 새로운 포트폴리오 출시와 원가 개선 및 비용 효율화를 통해 양적·질적 성장을 달성하는 한 해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