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100만달러’ 간다더니…비트코인 시세, 9만달러 붕괴 ‘굴욕’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2.25 18:42
TALGO-M&A/PFR

▲비트코인(사진=로이터/연합)

이달 들어 횡보세를 이어오던 비트코인 시세가 25일 9만달러선이 붕괴됐다. 비트코인이 9만달러 선을 내준 것은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처음이다. 일각에선 이같은 시세 하락이 시작에 불과해 비트코인이 7만달러 수준까지 밀릴 것이란 경고도 제기됐다.


가상자상 시황중계 사이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42분 기준, 비트코인 가격은 24시간 전 대비 7.27% 급락한 8만8993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비트코인이 9만달러선 밑으로 내려온 적은 지난해 11월 중순 이후 약 3개월 만이다. 이날 오후 4시 35분께에는 비트코인이 8만8355달러까지 추락하기도 했다.


'비트코인 대통령'을 자처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해 대선에 승리하자 비트코인 시세는 지난달 22일 10만6000달러 수준까지 폭발적인 상승세를 이어왔다. 가상화폐 규제 완화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다. 비트코인이 파죽지세로 치솟자 향후 100만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는 장밋빛 전망도 제기됐었다.


코인텔레그래프는 지난해 11월 7일 당시 “비트코인 가격이 트럼프 전 대통령 임기 중 1900% 상승한 전례를 보면 다음 임기에는 시세가 100만 달러에 이를 수 있다"고도 보도한 바 있다.


그러나 비트코인 시세가 이달 초 10만달러선이 무너진 후 9만5000~7000달러대에 횡보세를 이어오더니 이날 결국 9만달러선이 무너진 것이다.




블룸버그통신은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 후 비트코인 가격은 20% 가까이 급락했다"며 “적대국은 물론 동맹국들에 대한 트럼프 대통령의 공격적인 스탠스는 투자자들의 신뢰를 흔들었고 인플레이션 상승에 대한 우려는 여전한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가상화폐 거래소 인디펜덴트 리저브의 아드리안 프젤로즈니 최고경영자는 “비트코인 가격 하락은 지난 며칠 동안 금융시장을 강타한 거시경제적 불확실성에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발표한 다양한 관세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비트 해킹 사태, 하비에르 밀레이 아르헨티나 대통령의 '리브라 밈코인' 사태 등도 투자심리를 위축시킨 것으로 풀이된다.


일각에선 기관투자자들의 비트코인 수요가 크게 식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가상화폐 거래소 비트파이넥스의 애널리스트들은 보고서를 통해 “지속적인 돌파를 위한 모멘텀이 부족했고 이로 인해 거의 모든 가상자산이 위축됐다"며 비트코인 현물 상장지수펀드(ETF)에 대한 기관투자자들의 수요가 “상당히 둔화됐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이어 지난 21일까지 일주일 동안 비트코인 ETF에서 자금이 매일 순유출됐다며 유출 규모는 5억5250만달러에 달했다고 덧붙였다.


미 경제매체 포브스에 따르면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도 지난 20일 기관투자자들의 비트코인 수요가 식었다고 경고한 바 있다. JP모건은 “지난 몇 달 동안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모멘텀 신호는 모두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고 했다.


마켓워치에 따르면 세븐스 리포트 러서치의 공동 편집자인 타일러 리치는 지난 19일 노트를 통해 비트코인 핵심 지지선이 9만1500달러라며 만약 무너질 경우 비트코인은 7만3400달러까지 폭락할 수 있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한편, 가치저장의 대표적 수단인 금값은 고공행진하고 있다. '디지털 금'으로 불리며 새로운 가치 저장수단으로 각광받던 비트코인과 대조적이다. 지난 24일(현지시간) 뉴욕상품거래소에서 4월물 국제금 선물가격은 온스당 2963.20달러로 사상 최고가를 경신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