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전북득별자치도
전주=에너지경제신문 송종영 기자 전북특별자치도가 기후변화로 인한 감염병 확산 가능성에 대응하기 위해 감시 사업을 확대하고, 예방 체계를 강화한다. 올해부터는 기존 감시 대상에 참진드기를 추가하며, 도민 건강 보호에 더욱 집중할 방침이다.
전북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 질병관리청 주관으로 수행한 '기후변화 매개체 감시 거점센터' 사업을 확대 운영한다고 25일 밝혔다. 기후변화로 인해 모기와 진드기 등 감염병 매개체 개체 수가 증가하면서 감염병 위험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보다 촘촘한 감시망 구축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다.
전북 보건환경연구원은 지난해부터 모기와 털진드기를 대상으로 감시를 진행한 결과, 일부 지역에서 쯔쯔가무시균과 일본뇌염 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따라, 감염병 예방을 위해 도민을 대상으로 모기 기피제 사용 권장, 방충망 점검 등 감염병 예방 수칙을 적극 홍보했다.
올해부터는 감시 대상을 기존 모기·털진드기에서 참진드기까지 확대한다. 특히 참진드기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을 전파할 가능성이 높은 매개체로, 치명률이 높아 적극적인 관리가 필요한 대상이다. 이에 따라 농촌 지역과 하천 인근을 중심으로 매개체 채집 및 분석이 진행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SFTS 감염 사례가 매년 증가하는 추세다. 질병관리청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보고된 SFTS 환자는 200명을 넘었으며, 이 중 다수가 야외 활동이 많은 고령층이었다. 전문가들은 기후변화로 인해 감염병 매개체의 활동 시기가 길어지고, 감염 위험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한다.
전북 보건환경연구원은 감염병 발생 위험을 줄이기 위해 질병관리청과 협력해 감시 지역을 확대하고, 매개체 발생 현황을 신속하게 분석할 계획이다. 또한, 도내 주요 하천과 농촌 지역에서 감염병 매개체를 주기적으로 채집하고,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실시간 분석해 대응 체계를 강화할 예정이다.
전경식 전북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장은 “감염병 매개체 감시는 도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한 필수적인 활동"이라며 “전북 보건환경연구원은 감염병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감시망을 확대하고, 실질적인 예방 대책을 마련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