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의 한 대형마트.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개월 연속으로 2%대 오름세를 이어갔다.
물가안정 목표(2.0%)에는 부합하는 수치이지만 일부 장바구니 품목을 중심으로 불안정한 흐름이 이어졌다.
6일 통계청이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2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6.08(2020년=100)로 1년 전보다 2.0% 상승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작년 10월 1.3%를 저점으로 11월 1.5%·12월 1.9% 등으로 우상향 곡선을 타면서 새해 들어 2%를 뚫었다. 지난 1월(2.2%)보다 소폭 둔화하기는 했지만 2%대를 이어간 오름세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방식의 근원물가 지표인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 지수 상승률은 1년 전보다 1.8% 상승했다.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 지수 역시 1.9% 오르면서 1월(2.0%)보다 소폭 둔화했다.
전반적인 헤드라인 지표가 둔화한 가운데 서비스 물가가 불안한 흐름을 보였다.
품목성질별로 보면 외식 물가가 3.0%, 외식 제외 개인서비스 물가가 2.9% 오르면서 전체 물가를 각각 0.43%포인트(p), 0.57%p 끌어올렸다.
외식 물가 상승에는 배달앱의 '수수료 갑질'에 따른 이중가격제도 일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석유류는 6.3%, 가공식품은 2.9% 각각 오르면서 전체 물가에 0.24%포인트(p)씩 기여했다.
특히 식품업체들이 새해 들어 출고가를 잇달아 인상하면서 가공식품 물가를 끌어올린 것으로 보인다. 가공식품 물가 상승률은 작년 1월(3.2%) 이후 최고다.

▲소비자물가 추이. 그래픽=연합뉴스
세부 품목별로는 기저효과에 따른 통계적 착시가 반영되면서 엇갈린 흐름을 보였다. 이 때문에 일반 국민의 체감 물가와는 거리가 있을 수 있다.
생활물가지수 상승률은 2.6%로 작년 7월(3.0%) 이후 가장 높았다.
반면 생선, 채소, 과일 등을 아우르는 신선식품지수는 1년 전보다 1.4% 하락했다. 지난 2022년 3월(-2.1%) 이후로 35개월 만에 첫 마이너스다. 특히 과실 물가가 5.4% 떨어졌다.
농산물 물가는 작년 동월 대비 1.2% 떨어졌지만, 축산물(3.8%)과 수산물(3.6%) 물가는 비교적 큰 폭 올랐다.
'금징어'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가격이 오른 오징어 물가는 되레 2.1% 하락했지만 전월 대비로는 3.2% 상승했다. 작황 부진으로 무(89.2%)와 배추(65.3%) 물가가 가파른 상승폭을 기록했다.
정부는 “농산물 가격 하락,석유류 가격 상승폭 둔화 등으로 전년 동월 대비 2.0% 상승했다"며 “추세적 물가 흐름을 보여주는 근원물가는 1.8%로 안정적인 흐름을 지속한다"고 평가했다.
기획재정부는 국제유가, 기상여건 등의 불확실성이 있는 만큼 경각심을 갖고 물가안정에 총력을 다할 방침이다.
먹거리 물가안정을 위해 주요 식품원료 할당관세, 농수산물 비축·방출 및 할인지원 등을 지속하는 한편, 주요 품목별 물가동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가격 불안 품목에 대해서는 대응방안을 신속히 강구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