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돈곤 청양군수는 18일 기자브리핑을 통해 '지천댐 건설'과 관련해 최종 결정은 주민협의체 구성 및 기본 구상 용역 완료 이후 이루어질 것이라며 그때까지 7가지 대책과 대형 프로젝트 발굴 등을 통해 군민들의 상실감을 해소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사진=김은지 기자
청양=에너지경제신문 김은지 기자 김돈곤 청양군수는 18일 최근 환경부가 발표한 제1차 하천유역수자원관리계획에 포함된 지천댐 건설 후보지 선정에 대해 청양군의 입장을 분명히 했다. 김 군수는 “충남도가 주관하는 지역협의체에 적극 참여해 청양군과 주민들의 의견을 반영할 방침이다"고 밝혔다.
김 군수는 이날 기자브리핑을 통해 '지천댐 건설'과 관련해 최종 결정은 주민협의체 구성 및 기본 구상 용역 완료 이후 이루어질 것이라며 그때까지 7가지 대책과 대형 프로젝트 발굴 등을 통해 군민들의 상실감을 해소할 계획이라고 이같이 말했다.
환경부는 최근 지천댐을 기후대응댐 후보지로 포함하는 내용의 계획을 발표하며, 주민협의체 구성을 통해 지역 공감대를 형성하고 기본 구상 용역 후 댐 건설을 추진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이에 대해 김 군수는 지난해 7월 환경부가 지천댐을 포함한 전국 14개소의 기후대응댐 후보지를 발표했을 당시, 군민 여론이 찬반으로 갈려 극심한 갈등을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김 군수는 댐 건설이 지역 미래를 결정하는 중대한 사안임을 강조하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18일 오전 12시께 청양군청 회전교차로 앞. 지천댐 건설을 반대하는 천막이 쳐져있다. 사진=김은지 기자
특히, 김 군수는 주민 갈등 조정과 통합에 집중해 중립적인 자세를 유지해왔다고 설명했다. 하지만 주민들의 찬반 의견 차이가 좁혀지지 않자, 청양군은 상수원보호구역 지정 우려 등 7개 항목으로 정리된 요구사항을 환경부에 전달했다.
환경부는 이에 대한 대책을 회신했으나, 청양군은 이를 부족하다고 판단해 지난해 10월 '지천댐 건설 반대' 입장을 명확히 했다. 김 군수는 “국가적 물 부족 문제 해결에 동감하지만 우리 지역이 희생만 강요받아서는 안 된다"며 일방적인 피해를 주는 댐 건설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재차 강조했다.
김 군수는 도에서 추진 예정인 여론조사와 관련된 질문에는 “충분한 협의를 거쳐 기본 구상 용역이 마무리되면 여론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며 “충분한 지원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다면 '찬성할 수 없다'라는 기존 입장은 변함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지역 피해 최소화 및 이익 극대화를 위한 방안을 찾겠다는 것이 일관된 입장"이라며 앞으로도 이러한 기조를 유지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