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남시청 전경 제공=성남시
성남=에너지경제신문 송인호 기자 성남시는 26일 지역 내 법인택시 운수종사자의 처우개선을 위해 올해부터 1인당 월 16만원의 지원금을 지급한다고 밝혔다.
이는 경기도 31개 시·군 가운데 가장 높은 금액으로 법인택시 기사들의 근로 여건이 한층 나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시는올해 경기도 매칭 지원사업을 통해 월 11만원을 기본 지급하고 시비 5만원을 추가로 지원해 총 16만원을 지급하기로 했으며 이를 위해 올해 5억6000만원의 예산을 추가 투입한다.
시에 따르면 지급 대상은 시에 등록된 법인택시 1010대에 종사하는 운수종사자 941명이며 월별 지급 조건은 해당 월 회사별 만근일의 절반 이상을 근무하고 월 말일까지 재직 중인 경우다.
다만 경기도 매칭 지원금인 11만원은 '여객자동차 운수사업법' 또는 '택시운송사업의 발전에 관한 법률'을 위반해 행정제재를 받았거나 교통사고를 유발한 경우 2023년 1월 이후의 누적 건수에 따라 3개월에서 최대 12개월까지 지급이 제한된다.
성남시 관계자는 “법인택시 기사들은 운송수입금을 회사에 납부해야 해 개인택시 기사보다 근로 여건이 어려운 상황"이라며 “이번 5만원 추가 지원은 경기도 내 가장 높은 수준으로, 실질적인 처우 개선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시, 자활근로자 건강 증진 사업 첫 시행…최대 100만원 지원

▲성남만남자활센터 자활근로자들에게 건강증진사업에 관해 설명중이다 제공=성남시
이와함께 시는 자활 근로자를 대상으로 건강 증진 사업을 시행해 최대 100만원의 치과 치료비 또는 최대 30만원의 심화 건강검진비를 지원하기로 했다.
의료취약계층인 자활근로 참여자들의 질병 예방과 건강 관리를 지원해 안정적인 경제활동을 돕기 위해 올해 처음 도입하는 사업으로 이를 위해 시는 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와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시 자활 활성화 지원금 중 1000만원을 재원으로 투입하기로 했다.
지원 대상은 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가 운영하는 사업단에서 3개월 이상 자활근로를 하는 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이다.
센터 측이 치아나 건강 상태가 고위험군에 속하는 자활근로자 17명을 선정해 7명에게는 치과 치료비(최대 100만원)를, 10명에게는 심화 건강검진비(최대 30만원) 다음 달부터 지원한다.
성남시 관계자는 “자활 근로자에 대한 의료비 지원 체계가 마련돼 경제적 부담으로 치과 치료를 받지 못하는 이들과 일반 건강검진 결과에서 2차 진료 소견이 나온 이들의 어려움을 덜어 주게 될 것"이라면서 “이번 사업의 효과와 만족도를 검토한 후, 단계적으로 사업 규모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수정구 단대동)는 지역 곳곳에 도시락 제조, 카페, 분식, 세탁소, 다회용기 세척, 편의점 등 18개의 사업단과 9개의 자활기업을 운영 중이며 현재 총 254명의 기초생활보장수급자와 차상위 계층이 자활근로를 하면서 전문 기술을 배우고 있다.
성남만남지역자활센터 근로자 중 최근 1년간 탈수급 또는 취·창업을 한 이들은 59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