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진태 도지사는 31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강원권 K-반도체 클러스터 조성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제공=강원도
강원=에너지경제신문 박에스더 기자 김진태 지사는 31일 기자간담회 자리에서 “'강원권 K-반도체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9종 2212억원을 투입하고 있고, 이 중 4개 사업이 올해 본격적으로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올해 착공하는 4개 사업(1706억원)는 전문인력 양성분야(△한국반도체교육원 △반도체공동연구소)와 테스트베드 구축 분야(△반도체 소모품 실증센터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신뢰성 검증센터)이다.
도는 1일 원주시 학성동 옛 원주역에서 '한국반도체교육원' 착공식을 개최한다. 이는 2022년 국비 200억원을 확보한 강원 반도체 제1호 사업이다. 지난 2023년 도내 7개 대학이 참여하는 강원형 반도체 공유대학이 운영을 시작해 학점교류 시스템을 구축했다.
반도체공동연구소는 지난해 7월 교육부 공모에 선정된 후 올해 11월 착공 예정이다. 향후 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와 협력해 반도체 연구·교육의 중심 허브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미래차 시스템반도체 신뢰성 검증센터와 반도체 소모품 싫증센터는 2023년 10월 중투심사를 통과하며 사업타당성을 확보했다. 원주 부론일반산업단지 내에 각각 10월과 11월 차공 예정이다. 이를 통해 반도체 기술지원 및 제품 개발을 뒷받침할 방침이다.
현재 도는 총 506억원 규모의 5개 사업도 진행 중이다. 해당 사업은 △반도체공유대학 △첨단산업 인재양성 부트캠프 △특성화고 반도체과 △반도체특성화대학 △의료AI반도체 전문인력 양성센터 등이다.
내년에도 462억원 규모의 반도체 연계 프로젝트를 추진해 지역 특화산업을 고도화하고, 신규 사업을 지속적으로 발굴할 예정이다.
강원도는 현재까지 6개 반도체 기업과 투자협약을 체결해 2163억원 규모의 투자유치를 이끌어냈으며, 이 중 4개 기업은 이미 착공을 완료했다.
특히 삼성전자와 DB하이텍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은 물론, 한국반도체산업협회와도 협약을 체결하며 지자체 최초로 반도체 산업 발전을 위한 협력 기반을 구축했다.
김진태 지사는 “내일 착공하는 한국반도체교육원을 시작으로 올해 총 4개 사업이 본격적으로 진행된다"며 “이번 사업들은 인력 양성, 테스트베드, R&D까지 포함된 종합적인 반도체 생태계 구축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이러한 기반을 토대로 반도체 기업 유치를 최종 목표로 추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