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관세폭탄에 글로벌 증시 ‘쑥대밭’…골드만은 S&P500 전망치 또 하향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3.31 17:23

코스피 2480선 붕괴 코앞…삼성전자 등 시총상위 ‘파란불’
일반·대만 증시 기술적 국면 진입
골드만삭스 S&P500 목표치 5700로 낮춰…이달에만 두 차례 하향
안전자선 선호 심리 확산…국제금값 또 신고가

코스피 겹악재에 3% 급락

▲31일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에서 한 딜러가 상황을 주시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상호관세 발표가 임박하면서 글로벌 증시가 큰 폭을 하락했다. 31일 한국 코스피 지수는 2480선 붕괴를 앞두고 있고 지난해 호황을 누렸던 일본과 대만 증시는 기술적 조정국면에 진입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는 이달에만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의 올 연말 목표치를 두 차례 하향 조정했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해지면서 국제금값은 장중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전장보다 3.0% 급락한 2481.12에 거래를 마감했다. 이는 지난달 3일 이후 최저 수준이다.


코스피는 전장 대비 1.74% 내린 2513.44로 출발한 후 단숨에 2500선이 붕괴됐다. 장중 한때 2479.46까지 떨어지기도 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1조5753억원 순매도했고, 개인과 기관은 각각 7899억원, 6672억원 순매수했다.


시가총액 상위 종목들이 일제히 약세를 보였다. 삼성전자는 3.99% 급락했고 SK하이닉스(-4.32%), LG에너지솔루션(-6.04%), 삼성바이오로직스(-3.34%), 현대차(-3.8%), 기아(-3.15%), 셀트리온(-4.57%), 네이버(-1.90%) 등도 하락했다.




KB금융(+0.38%), 한화오션(+0.15%), 삼성화재(+0.14%), 고려아연(+1.57%), 현대로템(+3.24%) 등은 상승 마감하는 등 비교적 선방했다.


코스닥 지수도 전장보다 3.01% 내린 672.85로 장을 마감했다. 지수는 전장 대비 1.49% 내린 683.42로 출발한 뒤 하락세가 점차 강해졌다.


이날 종가 기준으로 코스피 지수는 1분기 3.4% 올랐지만 코스닥은 0.79% 하락했다.


JAPAN-ECONOMY-STOCKS

▲31일 닛케이 지수를 보여주는 전광판(사진=AFP/연합)

아시아 주요 지수도 하락세를 피하지 못했다. 호주 S&P/ASX200 지수는 전장 대비 1.74% 하락했고 일본 닛케이225 평균주가(닛케이)는 -4.05% 급락한 3만5617.56을 기록, 지난해 9월 이후 최저치까지 밀렸다. 이로써 닛케이는 지난해 말 고점 대비 11.5% 가량 하락해 기술적 조정 국면에 진입했다.


이날 4.2% 급락한 대만 가권지수 역시 지난달 21일 고점 대비 12.79% 하락하면서 기술적 조정 국면에 들어갔다.


중국 CSI300 지수, 홍콩 항셍지수도 각각 0.71%, 1.1% 하락했다.


이날 아시아 증시 하락은 반도체 및 자동차 관련주들이 주도했다.


삼성전자, SK하이닉스에 이어 한미반도체(-10.85%), 일본 도쿄일렉트론(-6.57%), 어드반테스트(-7.65%), 디스코(-8.38%), 르네사스 일렉트로닉스(-11.21%), 소시오넥스트(-8.84%), 대만 TSMC(-4.41%), 미디어텍(-5.12%), 폭스콘(홍하이 정밀공업·-5.19%) 등도 하락했다.


현대차·기아, 도요타(-3.13%), 혼다(-3.07%), 닛산(-4.03%) 등도 빠졌다.


한국시간 오후 5시 9분 기준 나스닥 100 선물 지수(-1.14%), S&P500 선물(-0.78%)도 내린 상태다.


인베스팅닷컴에 따르면 한국시간 오후 5시 9분 기준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선물은 -0.46%, S&P500 선물은 -0.74%, 나스닥100 선물은 -1.14% 등을 기록, 뉴욕증시 3대 지수 선물이 모두 내리고 있다.


GLOBAL-MARKETS/

▲미국 경기침체(사진=로이터/연합)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과 이에 따른 경제적 파장이 글로벌 증시를 짓누른 것으로 풀이된다. 무디스 애널리틱스의 카트리나 엘 경제 리서치 이사는 “트럼프 행정부에서 본 이러한 우발적이고 공격적인 정책 변화들은 모두 부정적인 경제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며 “미국 경기침체가 발생할 것이란 레토릭이 급증하고 있고, 우린 이러한 우려에 직면하고 있다"고 블룸버그통신에 말했다.


글로벌 투자은행 JP모건체이스의 케리 크레이그 글로벌 시장 전략가는 “관세 전망과 관련해 알려지지 않은 것들이 너무 많다"고 지적했다.


또다른 글로벌 투자은행인 골드만삭스는 미국 경기침체 확률을 20%에서 35%로 올렸다. 골드만삭스의 데이비드 코스틴 전략가는 또한 S&P500 지수의 올 연말 목표 전망치를 종전 6200에서 5700로 대폭 낮췄다. 이는 월가에서 가장 낮은 수치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코스틴 전략가는 지난 11일 S&P500 목표치를 6500에서 6200로 낮춘 바 있는데 약 3주만에 전망치를 또다시 낮춘 것이다. 코스틴 전략가는 “성장률 전망치와 투자자 심리가 더욱 악화되면 밸류에이션은 예상보다 훨씬 더 하락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안전자산 선호 심리로 국제금값은 이날 장중 온스당 3115달러까지 오르면서 신고가를 경신했다고 블룸버그는 보도했다. 금 가격은 지난달 28일 온스당 3114.30달러를 기록한 바 있다.


올 들어 18% 급등한 국제 금 시세는 올 한 해에만 신고가를 15회 경신했다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골드만삭스는 연말 금 목표가를 3300달러로 최근 올렸다. 미국의 통상·재정정책 및 지정학적 불확실성, 성장률 둔화 등이 금값 강세 요인으로 꼽힌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