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윤동

dong01@ekn.kr

윤동기자 기사모음




[두산그룹 新청사진]④ 에너빌리티, 투자재원 마련 고심…해법은 이번에도 ‘밥캣’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3.31 15:27

두산그룹 지배구조 개편 작업, 에너빌리티 대규모 투자금 마련에 초점

에너빌리티, 밥캣 지분 넘겨 대규모 현금 확보…원전 경쟁력 투자 집중

투자 시기 지연됐지만 여전히 기존 계획 추진 중…밥캣 배당이 큰 역할

지난해 말 지배구조 개편 작업이 무산된 두산그룹이 계열사를 중심으로 그룹 재편의 새로운 청사진을 가다듬어 외부에 공개하고 있다. 재계 안팎에서는 새로운 청사진에 대한 기대와 함께 기존의 지배구조 개편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우려가 동시에 나온다. 에너지경제신문은 두산그룹의 신규 청사진을 들여다보고 그 방향성 살펴본다. <편집자주>


두산에너빌리티

▲두산에너빌리티 직원들이 가스터빈 초도호기 최종조립을 위해 로터 블레이드를 케이싱에 설치하고 있다.

두산그룹은 지난해 지배구조 개편 작업을 진행하면서 핵심 계열사 두산에너빌리티의 새로운 도약을 위해 대규모 투자금 확보한다든 목표에 신경을 써왔다. 에너빌리티가 두산밥캣의 지분을 두산로보틱스에 넘겨 대규모 현금을 확보해 이를 원전 사업 핵심 경쟁력 강화에 활용하겠다는 의도였다.


결국 지배구조 개편 작업이 불발됐으나 올해도 에너빌리티는 여전히 원전 사업 핵심 경쟁력을 강화해나가겠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밥캣 지분을 활용한 조단위 대규모 재원 마련 계획이 무산되면서 투자 속도가 늦춰질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 나온다.


두산그룹과 에너빌리티는 여전히 이 문제를 '밥캣'으로 해결하겠다는 전략으로 분석된다. 단 번에 대규모 자금을 마련하는데는 실패했으나 캐시카우인 밥캣의 수천억원 규모의 배당금을 지속적으로 확보해 투자 재원을 확보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에너빌리티, 지배구조 개편 좌초로 투자 계획 크게 지연

31일 재계에 따르면 에너빌리티는 두산그룹 3사 중 지배구조 개편이 좌초되면서 가장 크게 동력을 상실한 계열사로 꼽힌다. 밥캣과 로보틱스도 추진력이 흔들리기는 했으나 조단위 투자금을 마련해 공격적인 설비 투자를 계획했던 에너빌리티와는 차이가 크다.




에너빌리티는 지난해 IR 등을 통해 대규모 투자 플랜을 외부에 공개했다. 우선 밥캣 지분을 매각하고 비핵심 자산인 두산큐벡스 등을 처분해 1조2000억원 규모의 투자 재원을 확보한다는 방안이다.


다음으로 확보한 재원 중 7000억원을 올해부터 집중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소형모듈원자로(SMR)와 대형 원자력 발전 공장에 6000억원을, 가스와 수소터빈 개발에 1000억원을 투자하겠다는 계획이었다. 이 같은 투자를 통해 2028년부터 영업이익이 2000억원 이상 추가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첫 단계인 투자 재원에서부터 문제가 발생했지만 계획 전체를 무산시켜야 하는 상황이라고 보기는 어렵다. 최근 원전 르네상스가 도래하면서 글로벌 각국에서 대형 원전 수주 기회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 두산그룹과 에너빌리티는 다소 투자 시점이 지연되더라도 재원을 마련해 투자를 지속하겠다는 입장을 가진 것으로 파악된다. 실제 지난해 12월 밥캣 지분 매각이 실패한 이후 에너빌리티는 박상현 사장의 명의로 주주서한을 통해 투자 자금 마련을 위해 다양한 방법을 모색하겠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회사 안팎에서는 이번에도 여전히 밥캣을 활용하는 방안을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된다.


◇캐시카우 밥캣, 투자 재원 마련에 큰 역할

밥캣은 여전히 캐시카우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밥캣의 최대 주주는 에너빌리티로 지난해 말 기준 4617만6250주(46.06%)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지난해 밥캣의 별도 기준 순이익이 절반 이상 줄었음에도 6211억원으로 1703억원의 당기순손실을 기록한 에너빌리티보다 견조한 실적을 기록했다.


이 같은 상황에서 밥캣의 주주환원 정책의 강화가 에너빌리티의 재원 마련에 돌파구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지난해 연말 밥캣은 기업가치 제고 계획을 발표하며 기존 연 2회 지급하던 배당을 분기 배당으로 전환하고, 연간 배당금도 주당 1600원 이상으로 설정하겠다고 밝혔다.


밥캣이 1년 동안 최소치인 주당 1600원만 배당한다 하더라도 4617만6250주의 지분을 감안하면 배당금은 739억원에 달하는 규모다. 아울러 밥캣은 향후 총 주주환원 규모를 당기순이익의 40% 가량으로 설정했다.


지난해 주당 1600원을 배당한 결과 배당성향이 28.2% 수준이었음을 감안하면 배당을 더욱 늘릴 가능성이 크다. 지난해 반토막난 순이익이 예년 수준으로 회복된다면 매년 수천억원 규모의 배당을 받을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에너빌리티 관계자는 “글로벌 시장에서 원전은 여전히 순항하는 산업"이라며 “에너빌리티가 글로벌 원전 수주에서 더욱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해 계획됐던 투자들이 여전히 진행돼야 할 상황"이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