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우리나라보다 성장률 순위가 낮은 국가는 라트비아(0.045%), 핀란드(-0.017%), 프랑스(-0.101%), 독일(-0.201%) 등이었다.
작년 4분기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37개국 가운데 29위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내수 부진에 비상계엄 사태까지 겹치면서 한국의 GDP 성장률은 작년 2분기부터 4분기까지 낮은 순위를 기록 중이다.
5일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콜롬비아, 리투아니아를 제외한 36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에 중국을 더한 총 37개국의 작년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전분기 대비)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4분기 0.066%로 전체 37개국 중 29위로 집계됐다.
한국은행은 지난달 5일 '2024년 4분기 및 연간 국민소득(잠정치)' 발표 당시 한국의 4분기 성장률을 0.1%로 공개했지만, 반올림 전 실제 수치는 0.066%로 역성장을 겨우 피한 수준이었다.
1위는 아일랜드로 4분기 성장률이 3.613%에 달했다. 이어 덴마크(1.849%), 튀르키예(1.688%), 중국(1.6%), 포르투갈(1.542%), 룩셈부르크(1.424%) 순이었다. 미국은 4분기 성장률(0.607%), 일본 0.556%로 각각 17위, 20위를 차지했다.
우리나라보다 성장률 순위가 낮은 국가는 라트비아(0.045%), 핀란드(-0.017%), 프랑스(-0.101%), 독일(-0.201%) 등이었다. 37개국 가운데 4분기 GDP 성장률 순위가 낮은 국가는 아이슬란드로, -1.447%의 역성장을 기록했다.
우리나라의 GDP 성장률 순위는 작년 2분기부터 세 분기째 하위권을 기록 중이다. 우리나라 성장률은 지난해 1분기 시장 기대치를 뛰어넘는 1.3%를 기록할 당시만 해도 중국(1.5%)에 이어 세계 6위에 달했다.
그러나 2분기 -0.228%에 그쳐 32위로 추락했고, 3분기에도 0.1% 성장에 그쳐 26위에 그쳤다. 작년 3분기 당시 내수는 예상대로 회복 흐름을 보였지만, 수출 증가세가 예상보다 둔화하면서 성장률은 0.1%에 머물렀다.
여기에 비상계엄 등에 따른 소비, 건설 경기 위축으로 4분기 성장률 역시 0.066%로 0%대 성장률을 기록했다.
문제는 올해 1분기에도 정치 불안에 대규모 산불 사태까지 맞물리면서 역성장 가능성까지 거론된다는 점이다. 소비, 투자 등 내수 부진이 지속된 데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본격화되기 전임에도 수출 증가세까지 둔화된 영향이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세계 3대 신용평가사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한국의 올해 성장률을 기존 2.0%에서 1.2%로 하향 조정했다. 아시아 국가 가운데 한국의 하락 폭이 가장 크다. 영국 리서치회사인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한국의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1.0%에서 0.9%로 하향했다.
외신들은 한국의 정치적 혼란이 장기화되면서 최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위협과 북한-러시아의 군사 협력 등 대외 불확실성에 적절히 대응하는데 어려움을 겪을 가능성이 크다고 진단했다.
인플레이션 상방 압력이 계속되는 점도 우리나라 성장률에 부담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3월 소비자물가 지수는 116.29(2020년=100)로 1년 전 같은 달보다 2.1% 상승했다. 이와 관련해 씨티그룹은 “최근의 에너지 가격 하락과 소비수요 둔화에도 불구하고, 정부의 가격 통제 기능 약화와 생산자가격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상방 압력에 유의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