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최측근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과 유럽 간 관세가 없는 자유무역지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머스크는 또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전쟁을 주도한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선임고문을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도 했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머스크는 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극우 정당 라 리가(La Liga) 행사에서 화상 연설을 통해 “이상적으로 유럽과 미국이 무관세 체제로 나아가 북미와 유럽간 자유무역지대가 구축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미국과 유럽이 매우 긴밀한 파트너십을 구축하길 바라고 노동 이동 자유 확대에 찬성한다"며 “이는 (트럼프) 대통령에 대한 나의 조언이었다"고 덧붙였다.
머스크의 이날 발언은 트럼프 대통령이 유럽연합(EU)을 포함해 전 세계 무역국을 상대로 하는 관세를 발표한 지 며칠 만에 나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전 세계 수입품에 10% 보편관세를 부과하고 주요 교역국에는 국가별 관세를 추가로 부과되는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EU산 제품에 대해서는 20%가 책정됐다.
트럼프 행정부는 또 EU에 대해 수차례 비판해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EU가 미국을 '등쳐 먹기(screw)' 위해 만들어져다고 주장해왔고 JD 밴스 부통령은 지난 2월 뮌헨안보회의에서 “가장 근본적인 일부 가치로부터 유럽이 후퇴하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런 와중에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꼽히는 머스크의 이날 발언을 보면 관세 정책에 대해서 트럼프 행정부와 이견이 있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온다.
머스크는 앞서 이날 트럼프 행정부에서 관세 정책의 핵심 역할을 맡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책사' 피터 나바로 백악관 무역·제조업 담당 고문을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엑스(X·옛 트위터)에서 네티즌이 '나바로는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 학위를 보유하고 있다'고 쓴 데 대해 “하버드대 경제학 박사는 좋은 게 아니라 나쁜 것"이라며 “자아(ego)가 두뇌(brains)보다 큰 문제로 귀결된다"고 주장했다.
일각에선 머스크가 트럼프 행정부를 떠나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 비판에 나선 것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현재 머스크의 법률적인 지위는 연방정부의 '특별 공무원'으로, 관련법에 따라 1년에 130일 넘게 정부에서 일할 수 없기 때문에 5월 말이나 6월 초에는 행정부 업무를 종료해야 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대해 기자들에게 “결국 머스크도 떠나야 할 시점이 올 것이다. 아마도 몇 달 후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