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美 상호관세 발효 임박…폭풍전야에 빠진 세계 각국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08 14:33
US Israel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발표한 상호관세 발효가 임박했지만 각국의 혼란은 더욱 가중되고 있다. 한국(25%), 중국(34%)을 포함해 미국이 이른바 '최악 침해국'으로 분류한 국가에 대한 상호관세는 오는 9일 0시 1분(미 동부시간 기준, 한국시간 9일 오후 1시 1분) 발효될 예정이다. 전 세계 국가를 대상으로 하는 '기본 10% 관세'는 지난 5일부터 부과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7일(현지시간)에도 상호관세에 대한 발언을 이어갔지만 미국 정부가 세계 각국으로부터 무엇을 요구하는지에 대해 명확하게 언급하지 않았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는 이날 백악관에서 진행된 트럼프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에서 미국의 대(對)이스라엘 무역 적자에 대해 “빨리 없애겠다"면서 “그것은 옳은 일이고 무역 장벽도 제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에 대한 상호관세를 인하할 것이냐는 질문에 “어쩌면 아니다"라면서 “잊지 마라. 우리는 이스라엘을 엄청나게 돕고 있다. 우리는 매년 수십억 달러씩 이스라엘에 지원한다"고 말했다.


네타냐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의 상호관세 발표 후 미국을 찾은 첫 해외 정상이지만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블룸버그통신은 “가장 가까운 정치적 동맹국에 대한 트럼프의 혼란스러운 접근 방식은 가장 확고한 파트너조차 어려움에 직면한 것을 잘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미국이 이스라엘에 부과한 상호관세율은 17%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유럽연합(EU)이 미국 공산품에 대해 무관세를 제안한 것이 충분한지를 묻는 질문에 “아니다"라며 “관세는 큰 부분이지만 거기에는 다른 큰 부분이 있고 그것은 (비관세 무역) 장벽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EU는 무역에서 미국에 해를 끼치기 위해 형성됐다"며 “미국과 무역에서 독점적 상황을 만들었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린 EU에 3500억달러 무역적자를 보고 있는데 곧 사라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상호관세 유예가 없다고 하면서 강행 의지를 재확인했다. 그는 이날 상호관세를 일시 유예할 가능성이 있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우리는 그것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답변했다.


이어 “모든 국가와의 공정하고 좋은 협상에 열려있다"며 “영구적인 관세도 있지만 우린 관세 이상의 필요한 것들이 있기 때문에 협상은 있다“고 덧붙였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기본 10% 관세'의 관세율을 낮출 수 있는 질문에 답변을 피한 채 “관세는 이 나라를 매우 부유하게 만들 것"이라고 했다.


이날 뉴욕증시에선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관련 오보 소동으로 장중 2조4000억달러에 달하는 시가총액이 순식간에 불어났다가 사라지는 초유의 롤러코스터가 펼쳐지기도 했다.


USA-TRUMP/TARIFFS-ISRAEL

▲미·이스라엘 정상회담(사진=로이터/연합)

관세의 표적이 된 각국 정부는 혼란 속에서 여러 경로를 총동원해 미국의 의중을 파악하며 돌파구 마련에 애쓰고 있다.


일본은 이시바 시게루 총리가 트럼프 대통령과 이날 통화한 데 이어 양국 간 장관급 후속 협의를 진행하기로 했다. 한국은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8∼9일 미국을 찾아 대미 협상을 시도한다.


유럽연합(EU)은 협상을 앞세우면서도 'EU의 이익을 보호하는 수단을 마련해두겠다'며 협상 결렬 시 보복할 수 있다는 뜻도 분명히 밝혔다. 이밖에 베트남은 대미 관세를 0으로 낮추겠다고 약속하고, 필리핀은 미국산 수입품에 대한 관세를 인하하겠다고 나서는 등 동남아 국가들도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


반면 중국은 미국과 강대강 대치에 나서고 있다.


중국 상무부 대변인은 8일 홈페이지에 게재한 담화문에서 “중국은 미국이 대(對)중국 50% 관세 추가 인상을 위협한 것에 주목했고, 이에 단호히 반대한다"며 “미국이 만약 격상한 관세 조치를 이행하면 중국은 단호히 반격(反制) 조치를 취해 권익을 수호할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중국이 34% (대미 보복) 관세를 4월 8일까지 철회하지 않을 경우 미국은 9일부터 중국에 추가 50%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며 “중국이 요청한 회담을 위한 논의는 중단될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