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성준

mediapark@ekn.kr

박성준기자 기사모음




美 상호관세 오후 1시부터 발효…韓·日 협상 우선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09 09:11

중국엔 104% 관세폭탄


US-POLITICS-CONGRESS-REPUBLICANS-TRUMP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사진=AFP/연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한 국가별 상호관세가 9일 오전 1시(미 동부시간 기준, 한국시간 9일 오후 1시 1분)부터 발효된다. 한국의 경우 25%의 상호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동맹이자 미국과의 교역에서 큰 흑자를 내는 한국과 일본과 협상을 우선순위로 두고 있어 어떤 결과가 나올지 관심이 쏠린다.


트럼프 대통령은 8일(현지시간)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와 통화하고 관세 문제 등을 논의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한미 양국 정상이 통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을 통해 “우리는 막대하고 지속 불가능한 (한국의 대미) 무역 흑자, 관세, 조선 산업,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 대량 구매, 알래스카 프로젝트 합작 투자, 그리고 우리가 제공하는 군사 보호에 대한 지불에 대해 이야기 했다"고 적었다. 이어 “그들의 최고 팀은 미국행 비행기를 타고 있고 상황은 매우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실제 정인교 통상교섭본부장이 제이미슨 그리어 미국무역대표(USTR)와 협의하기 위해 이날 미국에 도착했다.


한국 정부는 상호관세와, 자동차를 비롯한 품목별 관세의 세율을 낮추고, 최소한 다른 나라보다 불리하지 않은 관세 대우를 받도록 협상하겠다는 입장이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관세 문제를 협의하기도 했다.


트럼프 행정부 주요 인사들도 한국, 일본과 협상 가능성을 시사한 상태다. 얼핏 들으면 동맹이라서 미국과 먼저 협상할 기회를 준다는 뉘앙스가 읽히지만, 미국의 무역적자를 신속하게 줄이려면 한국과 일본 등 대미 무역흑자가 많은 국가를 우선해서 상대할 수밖에 없다는 현실 인식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스콧 베센트 미 재무장관은 이날 CNBC 인터뷰에서 “백악관이 연락해야 할 국가 리스트를 봤는데 목록이 상당하다"며 “어젯밤 우린 통화 우선순위를 정할 국가에 대해 논의하고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무역 적자가 큰 몇몇 국가들이 먼저 등장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베센트 장관은 또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와 관련해 협상에 직접 참여할 것"이라고 강조했으며 미국 일자리 증가, 해외 투자 확대, 미국 수출 증가 등의 이유로 알래스카 프로젝트 투자 합의가 매력적인 방안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그는 또 “무역 파트너들이 (협상을 위해) 무엇을 제공하는지 볼 것"이라며 “예를 들어 일본과 아마도 한국, 아마도 대만이 (LNG 등을) 대량으로 사들이고 (개발을 위한) 자금을 조달하는 거대한 알래스카 에너지 합의에 대한 논의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그들(한국, 일본, 대만)이 이러한 방안으로 제시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며 “미국 일자리 증가뿐만 아니라 미국의 무역적자를 줄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했다.


케빈 해싯 백악관 국가경제위원회(NEC) 위원장은 이날 폭스뉴스 인터뷰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우리의 가장 긴밀한 동맹이자 교역 파트너 중 일본과 한국 두 국가를 분명히 우선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한국은 수입을 늘려 대미 무역흑자를 줄이고, 미국과 조선업 및 LNG 협력을 강화한다는 구상으로 미국을 설득하려고 하고 있다.


한국의 제안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표면적인 반응은 일단 나쁘지 않아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덕수 권한대행과 통화에 대해 “(한미) 양국 모두를 위한 훌륭한 합의의 윤곽과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고, 해싯 위원장은 “미국 노동자와 농민을 위해 정말 긍정적이었다. 테이블에 정말 많은 양보(concessions)가 있었다"라고 평가했다.


한편, 미국 정부는 중국에 대해 104%의 관세를 부과한다.


캐롤라인 레빗 백악관 대변인은 8일 브리핑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50% 추가 대중 관세도 내일부터 시행되느냐'는 질문에 “그것은 9일 0시1분에 발효된다"라면서 이같이 확인했다.


레빗 대변인은 “보복 조치를 하는 것은 중국의 실수"라면서 “미국은 맞으면 더 세게 맞받아친다. 그것이 (중국에 대한) 104%의 관세가 시행되는 이유"라고 밝혔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펜타닐 문제로 중국에 총 20% 추가 보편관세를 부과했다. 여기에 중국산 수입품에 대한 상호관세(34%)가 부과될 예정이다.


이에 대응해 중국이 상응하는 보복 관세를 부과하는 조치를 발표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해당 조치를 철회하지 않을 경우 50%의 추가 관세를 부과한다고 위협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