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작년 가계 여윳돈 55조 늘어 역대 최대...소득이 지출 증가 상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10 14:23
경제부문별 자금운용 및 조달 차액.

▲경제부문별 자금운용 및 조달 차액.

지난해 소득 증가분이 지출 증가를 상회하고, 아파트 신규입주물량이 줄어들면서 가계 여유자금이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10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24년 자금순환(잠정)'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사업자를 포함한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순자금운용 규모는 215조5000억원으로, 전년(160조5000억원) 대비 확대됐다. 순자금운용 규모는 2009년 통계 편제 이후 최대 수준이다.


순자금 운용액은 각 경제주체의 해당 기간 자금운용(금융자산 거래액)에서 자금조달(금융부채 거래액)을 제외한 값이다.


조달액을 고려하지 않은 가계의 작년 자금운용 규모는 2023년 194조8000억원에서 지난해 266조1000억원으로 늘었다. 금융기관 예치금은 지난해 114조원으로 전년(130조2000억원) 대비 줄었지만,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42조4000억원), 보험 및 연금 준비금(62조5000억원) 등을 중심으로 커졌다.


가계의 자금조달액도 예금취급기관 차입이 51조6000억원 늘면서 2023년 34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50조6000억원으로 확대됐다.




한은 측은 “지출 증가를 상회하는 소득 증가, 아파트 신규입주물량 감소 등에 따른 여유자금 증가로 순자금운용 규모가 확대됐다"고 설명했다.


비금융법인의 순자금조달 규모는 지난해 65조5000억원으로 전년(109조4000억원) 대비 축소됐다. 기업 순이익은 늘었지만, 대내외 불확실성 증대로 투자 증가세가 둔화됐기 때문이다.


비금융법인의 자금운용은 2023년 9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68조7000억원으로 확대됐다. 지분증권 및 투자펀드가 2조원 감소했지만, 금융기관 예치금이 21조1000억원 늘었다.


비금융법인의 자금조달은 2023년 118조6000억원에서 지난해 134조2000억원으로 확대됐다. 채권을 중심으로 직접금융이 2023년 68조5000억원에서 지난해 31조2000억원으로 감소했지만, 상거래신용이 10조5000억원 증가하면서 확대됐다.


일반정부의 순자금조달 규모는 지난해 38조9000억원으로 전년(17조원) 대비 확대됐다. 정부 지출이 수입보다 더 크게 증가하면서 순자금조달 규모가 커졌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