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17일 공식 개장을 앞둔 서울 강동구 소재 '이케아 강동점' 내부 식당 전경. 사진=조하니 기자
실적 부침에 빠졌던 이케아코리아가 기존 출점 전략 틀에서 벗어난 '서울권 첫 숍인숍형 매장'으로 분위기 반전을 노린다.
처음으로 도심형 매장을 운영하는 만큼 모객 파워를 높여 실적 회복세를 유지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시범대가 될 점포는 오는 17일 개장을 앞둔 이케아 강동점이다. 2020년 동부산점 이후 5년 만에 선보이는 신규 점포다. 이곳은 서울 강동구 고덕비즈밸리 내 복합쇼핑몰인 '강동 아이파크 더리버'에 지상 1~2층, 2만5000㎡(약 7563평) 규모로 조성된다.
가장 눈길을 끄는 점은 입지 선정·매장 형태 등 다각도로 기존 출점 공식을 벗어난 것이다. 그동안 이케아코리아가 수도권·지방권 위주로 대규모 단독매장을 지었던 점과 비교하면 더 대조적이다.
특히, 도심외곽형 모델이던 기존 매장들은 접근성이 다소 떨어진다는 지적이 많았지만, 강동점은 도심형 점포인 특성상 집객 효과가 극대화될 것으로 회사는 기대하고 있다.
지난 11일 강동점에서 열린 미디어데이에서 매그너스 노르베리 이케아 강동점 점장은 “이곳은 서울권 첫 매장이자 이케아가 복합쇼핑몰 내 들어선 첫 점포"라며 “다양한 대중교통 노선뿐만 아니라 세 개의 고속도로를 통해 교통 편의성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향후 이케아코리아는 온·오프라인 사이를 연결하는 '옴니채널' 구심점으로 강동점을 활용할 계획이다. 온·오프라인을 넘나들며 제품 구매에만 수개월을 소요하는 국내 소비 흐름을 고려한 것이다.
대규모 단독매장은 아니지만 기존 체험형 매장 구색에 높은 접근성까지 더해 오프라인 접점을 넓히고, 이를 온라인 판매로 연결해 매출 확대를 꾀할 수 있다는 판단이 반영됐다.
이사벨 푸치 이케아코리아 대표는 “한국은 홈퍼니싱 온라인 시장이 가장 큰 국가로, 홈퍼니싱 제품의 52%가 온라인 채널을 통해 판매된다"며 “이 같은 소비 흐름을 반영해 옴니채널 리테일러 전략을 통해 성장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강동점은 다른 이케아 점포들과 마찬가지로 레스토랑과 카페, 쇼룸 등이 결합된 구조다. 식당과 카페는 각각 600석, 50석 규모로, 특히 카페는 국내 매장 중 가장 크다. 국내 매장 중 처음으로 QR코드로 주문과 결제가 가능한 '헤이 푸드 오더' 시스템도 도입했다.
강동점에서는 합리적인 가격대를 내세운 총 7400여개의 제품을 만나볼 수 있는데, 3700여개 제품은 현장 구매가 가능하다. 1인 가구나 부부, 가족 등 다양한 삶의 형태는 물론, 20평대 아파트·오피스텔 등 실제 주거 형태를 반영한 44개의 쇼룸도 선보인다.

▲이케아 강동점 내 쇼룸 전경. 사진=조하니 기자
이케아코리아는 2020년까지 국내에서 6개의 매장 문을 연다고 예고했지만, 강동점을 포함해도 현재 매장 수는 고작 5개다. 앞서 신설 계획을 밝혔던 계룡점·대구점 등도 무산돼 지지부진한 외형 확대를 보이는 가운데, 업계는 이케아코리아가 이번 서울권 점포를 새 성장 동력으로 삼을 것이라 분석하고 있다.
가까스레 반등한 실적 회복세에도 탄력을 받을지 관심이 쏠린다. 2021년(회계연도 2020년 9월~2021년 8월) 6872억원의 역대 최대 매출을 기록한 이케아코리아 매출은 이후 내리막길을 이어갔다.
이듬해에는 (2021년 9월~2022년 8월) 6223억원을 거두고, 이후 2023년(2021년 9월~2022년 8월)에도 6006억원의 매출을 내며 2년 연속 하락세를 탔다. 지난해(2023년 9월~2024년 8월) 매출은 전년 대비 4.1% 증가한 6258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회복세를 되찾은 상태다.
향후 이케아코리아는 한국 시장에 대한 투자를 강화하며 성장을 지속한다는 방침이다. 특히, 주문한 제품을 소비자가 빠르게 받아볼 수 있도록 물류 위주로 투자를 확대한다.
이사벨 푸치 이케아코리아 대표는 “지난해에만 170억원을 투입해 기흥점에 자동화 풀필먼트를 도입했다"며 “내년에는 300억원을 들여 고양점, 광명점에도 자동화 시스템을 적용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