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박경현

pearl@ekn.kr

박경현기자 기사모음




나라사랑카드 3기 사업자 놓고 ‘군침’…은행별 전략은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13 17:14

24일부터 3기 사업자 제안서 접수
대형은행 위주로 준비 태세 나타나

기업銀, 역량 강화에 외주 컨설팅 동원
KB·신한 등 전용 금융상품 앞세워

나라사랑카드 3기 사업자 선정을 앞두고 은행권 내 '군심잡기' 각축전이 불거지고 있다.

▲나라사랑카드 3기 사업자 선정을 앞두고 은행권 내 '군심잡기' 각축전이 불거지고 있다.

나라사랑카드 3기 사업자 선정을 앞두고 은행권 내 '군심잡기' 각축전이 불거지고 있다. 3기 사업자 선정 기준에 카드발급 등 사업 수행 능력과 병역자 복지증진 등 혜택이 강조되고 있어 이를 제공할 수 있는 대형은행간 경쟁으로 좁혀지는 형국이다.



나라사랑카드 3기 사업자 선정 시작…사실상 대형은행 싸움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군인공제회 C&C는 나라사랑카드 3기 사업자 선정을 목적으로 오는 24일부터 제안서 접수에 들어간다. 3기 사업자는 총 3곳을 선정하며 오는 2026년 초부터 2030년 말까지 사업 운영을 맡는다.


나라사랑카드는 현역병으로 입대하는 군인에게 군 복무 급여 등을 지급하기 위해 의무로 발급받는 군인 전용 체크카드다. 은행이 해당 카드의 사업자로 선정되면 매년 수만명의 신규 고객 확보는 물론이고 장기·주거래 고객으로 유입하는 데 유리해진다.


이번 사업자 선정은 1·2기 때와 달리 3곳을 선정하며, 3년 기한으로 한 차례 더 연장이 가능하다.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고 긴 기간 군 장병들을 잠재고객으로 확보할 수 있어 더욱 치열한 준비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제안서 접수까지 열흘이 남지 않은 현재까지 나라사랑카드 3기 사업 경쟁에 참여 의사를 밝힌 은행은 신한은행, KB국민은행, 우리은행, IBK기업은행 등이다. 하나은행과 NH농협은행도 지난달 진행한 사전 사업설명회에 참석하는 등 참여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군인공제회 C&C는 설명회에 참석한 금융기관에 한해 입찰자격을 부여한다.




사전설명회에 iM뱅크, 부산은행 등도 참여해 관심을 보였지만 사실상 대형은행간 씨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기존 사업자로서 경험이 있거나 군 장병 혜택에 사용할 재정적 여력이 있는 대형은행 위주로 공격적 준비 태세를 보이고 있어서다.



군 특화 서비스·운영 역량 높여라…“실보다 득이 많아"

우선 올해 12월까지 2기 사업을 맡고 있는 기업은행은 기존 사업 고도화를 위해 외주 컨설팅을 활용해 디지털 경쟁력 강화, 특화 서비스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기존 IBK나라사랑카드 혜택을 대폭 확대하기도 했다. IBK장병내일준비적금 상품 금리를 최고 연 7.50%(1년 기준)까지 인상해 경쟁은행들 중 가장 높은 금리를 제시했다. 카드 혜택엔 KT군공중전화요금 자동이체 시 10% 할인, 의무복무 중인 현역병사 대상 상해보험 무료가입 등이 있다.


또 다른 2기 사업자인 국민은행도 KB장병내일준비적금 금리를 인상했다. 현재 국민은행은 12개월 기준 연 최고 7.0% 금리 혜택을 제공한다. 카드 마케팅으로는 높은 PX(군마트) 할인율, 대중교통 할인, KB손해보험의 단체보험 무료 가입 등이 있다.


2005년 12월부터 10년 동안 1기 사업을 맡았던 신한은행은 과거 사업자로서의 경험을 강점을 살리는 한편 사업권 탈환을 위해 전담 조직과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대비 중이다. 금융 상품으로는 신한 장병내일준비적금의 금리를 업계 최고 수준으로 대폭 올린 것과 함께 군인행복대출이나 쏠편한 군인대출 등 군 전용 대출상품을 출시했다. 아울러 군 장교 출신 특별채용을 2023년부터 매년 진행해 군 혜택을 높이고 있다. 올해도 장교 특별채용에 돌입해 오는 14일 접수를 시작으로 30여명을 채용할 계획이다.


우리은행은 나라사랑카드 사업 운영 경험이 없지만 직접적인 지원을 대폭 강화해 군과의 접점을 늘리고 있다. 지난 2023년 건군 75주년 국군의 날 행사에서 훈련복 1만5000벌을 협찬했다. 당시 국방부와 진행한 기부협약 규모는 5억원에 달한다.


군인공제회 측이 밝힌 제안서 심사 기준에 따르면 서비스 부문에 배점이 높다. 이 외에도 △발급 여건 준비 및 재발급 운영 방안 △제휴서비스 △금융서비스 △병역의무자 복지증진 제안 등 안정적인 운영과 군 장병 혜택과 복지에 비중이 높다.


이에 군인공제회가 제시한 기준을 고루 충족하면서도 특화된 복지를 강조한 은행이 유리한 위치를 점할 전망이다. 은행별로 군 마트 할인, 적금 금리 등 실질 혜택부터 디지털 플랫폼 구축 등 역량 강화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은행권은 군 위주 사회공헌 활동부터 금융상품, 서비스 등 입찰 준비에 다소 많은 비용이 들어가지만 매해 늘어나는 나라사랑카드 결제액과 병사 월급 인상 등 이점상 놓치기 아쉬운 사업이라는 설명이다. 은행권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높은 금리와 부가서비스로 수익이 크지 않지만 미래 고객을 대거 유치할 수 있고 군 복무 급여 예치로 예금 확보 효과도 누릴 수 있다는 점에서 출혈경쟁도 감수하고 뛰어드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