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송두리

dsk@ekn.kr

송두리기자 기사모음




불확실성 휩싸인 韓경제…기준금리 이달 동결, 내달 인하 무게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14 15:05

17일 금통위 예정, 금리 2.75% 동결 전망
환율 치솟고 널뛰기…물가·금융안정 부정적

토허제 해제로 가계대출도 확대
성장률 추가 인하 예상…‘5월 인하’ 가능성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

한국 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며 이번 주 열리는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현재 기준금리는 연 2.75%까지 떨어진 상태다. 다만 국내 경기 부진 우려가 지속되고 있어 5월에는 기준금리 인하가 단행될 수 있다는 전망이다.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17일 열리는 한국은행 금통위에서 기준금리가 기존 연 2.75%에서 묶일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올해 들어 기준금리는 지난 1월 연 3%로 동결됐다가 지난 2월 연 2.75%로 하향 조정됐다.


이달에는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서 당장 금리를 낮추기에 부담스런 상황이 됐다. 원·달러 환율은 1500원에 이를 정도로 치솟다가 하락하는 등 변동성이 커진 상태다. 탄핵 정국 등 불안한 국내 상황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여파에 따른 충격이다. 한때 1480원대까지 치솟았던 환율은 이날 1420원대 초반까지 하락하며 널뛰기를 하고 있다. 한은은 지난 1월 기준금리를 동결하면서 '고환율'을 이유로 언급하기도 했는데, 지금의 환율은 여전히 1400원대 중반 수준으로 그때와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당시 한은은 고환율이 지속될 경우 물가를 자극하고 금융안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했다.


꿈틀대고 있는 가계대출도 부담이다. 지난 2월 토지거래허가제도 해제에 따라 서울 강남을 중심으로 가계대출이 급증했고, 실행까지 시간 차를 두고 대출 급증 효과가 반영되고 있다.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의 이달 10일 기준 가계대출 잔액은 739조7256억원으로, 10일 만에 1조1745억원 증가했다. 지난달 한 달 가계대출 증가 폭인 1조7992억원에 육박하는 규모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연초 토지거래허가제 해제 이후 서울 강남 중심의 부동산 가격 상승과 가계부채 증가 등을 고려할 때 한은은 금리 인하 결정을 신중하게 할 수밖에 없다"고 예상했다.


경기 하락 우려는 커지고 있어 기준금리 인하가 멈추지는 않을 것이란 판단이다. 앞서 한은도 “기준금리 인하 기조에 있다"며 “올해 두 세 차례 금리 인하에 나서겠다"고 했다. 시장에서는 5월 인하를 유력하게 보고 있다. 미국의 관세 정책 등에 국내 경기 하방 요인이 더욱 커진 만큼 이달 금통위에서 금리 인하 소수 의견이 나온 후 5월 인하를 단행할 것이란 전망이다.




또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도 추가로 낮출 것이란 예상도 나온다. 한은은 지난 2월 수정경제전망에서 올해 성장률 전망치를 1.5%로 하향 조정했다. 기존 전망치(1.9%)보다 0.4%포인트(p)나 낮췄다. 김지나 유진투자증권 연구원은 “당장 미국 관세가 유예됐다 해도 관세율이 조정될 가능성과 부과 시점이 더 미뤄질 가능성을 기대하고 경기 하방을 열어두지 않는 것은 합리적이지 못하다"며 “한국 외 기타 국가 관세율이 높아졌다는 것은 불확실성 자체다. 관세 유예와 관계없이 국내 성장률은 2월 전망 당시보다 하방 위험이 더 열려 있다"고 분석했다.


단 일각에서는 이달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도 내놓고 있다. 임재균 KB증권 연구원은 “만약 추경이 늦어져 대선 이후에 단행되면 이달부터 시작된 미국의 보편관세에 대응한 재정정책이 부재한데 5월 29일 금통위까지 통화정책 대응도 부재한 상황"이라며 “관세에 대한 우려는 정점을 지나고 잇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부정적 영향은 불가피하며, 금리 인하를 할 거라면 이달 단행하는 게 낫다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