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권대경

kwondk213@ekn.kr

권대경기자 기사모음




자동차 수출 ‘주춤’...북미 9.4%↓, 트럼프 관세 여파 시작됐나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15 11:00

산업부 ‘3월 자동차 산업 동향’, 분기 기준 수출 2.2%↓...북미지역 수출 급감

자동차 수출 앞날은

▲지난 8일 경기도 평택항에 수출용 자동차가 세워져 있다. 15일 산업부에 따르면 지난달과 1분기 자동차 수출액이 감소했다. 사진=연합뉴스

지난달 자동차 생산과 내수 판매량은 늘었는데 수출이 감소했다. 1분기 기준으로도 자동차 수출이 줄었는데 이는 전년 역대 최고를 달성한 역 기저효과와 조업일수 감소 때문으로 분석된다.


하지만 북미지역으로의 9.4%나 수출액이 줄어 트럼프 발 관세 정책 여파가 소비심리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5일 내놓은 '3월 자동차 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생산은 1.5%, 내수판매량은 2.4% 증가했다. 반면 수출은 2.4% 줄었다.


생산과 내수판매량은 2개월 연속 전년 동월 대비 증가한 것이다. 3월 자동차 수출액은 62억4000만달러를 달성하며 역대 3월 수출 중 2위를 기록했다.


분기별로 보면 생산은 1.1% 줄었고 역시 수출도 2.2% 감소했다. 다만 내수 판매량은 2.2% 늘었다. 수출 감소의 원인은 역 기저효과와 조업일수가 3일 줄었기 때문이다.




1분기 내수 판매량은 38만8000대로 전년 동기 대비 2.7% 소폭 증가했다. 이 역시 전년도 내수 감소에 의한 기저효과에 기인한다고 산업부는 설명했다.


특히 지역별 수출액을 들여다보면 1분기 북미지역은 90억6300만달러로 전년 100억4만달러 대비 9.4%나 감소했다. 미국에 비해 비교적 시장 규모가 적은 중남미와 오세아니아 그리고 아프리카도 줄었는데, 유독 미국으로의 수출이 급감했다.


3월 수출도 북미만 보면 32억6600만달러로 전년 동월 대비 8.4%나 감소했다.


반면 유럽연합은 22억3100만달러로 3.8% 늘었고, 아시아는 17억6500만달러로 37%나 증가했다. 중동도 13억8800만달러로 22.7% 증가했다.


산업부 관계자는 “지난 9일 발표한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대책'을 통해 기업들의 관세충격이 본격적으로 파급되기에 앞서 실효성 있는 정책 지원을 마련한 상태"라며 “발표한 과제들을 신속하게 추진하고 피해 상황과 대미협상 경과 등을 지속 모니터링 하며 탄력적으로 대응한다는 방침"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친환경차의 경우 1분기 내수판매량은 20% 이상 증가했는데, 친환경차로의 전환이 대세라는 것을 증명한 것이라고 산업부는 덧붙였다. 친환경차는 1분기 생산량 또한 내수에 힘입어 3년 연속 100만대를 초과한 101만대를 기록했다.


연도별로 보면 1분기 기준 자동차 내수량은 2023년 42만9000대에서 2024년 38만8000대 그리고 올해 38만8000대를 기록 중이다. 관련해 친환경차는 2023년 12만대에서 2024년 14만대로 늘었고 올해 16만9000대로 껑충 뛰었다.


친환경차에 대한 소비자들의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내수 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