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경제 포토

나유라

ys106@ekn.kr

나유라기자 기사모음




“금리하락 전 막차”...정기예적금에 8.5조 몰렸다

에너지경제신문   | 입력 2025.04.15 14:11
5만원권

▲2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 평잔)은 4229조5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5조7000억원(0.6%) 늘었다.

2월 통화량이 전월 대비 25조7000억원 늘었다. 기준금리 하락 전망으로 예금자들이 선제적으로 자금 예치에 나서면서 2월 정기예적금이 8조5000억원 불어난 영향이다.


15일 한국은행이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2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 평잔)은 4229조5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25조7000억원(0.6%) 늘었다. 2023년 6월 이후 21개월 연속 증가세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인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저축성예금 등 협의통화(M1)에 머니마켓펀드(MMF), 2년 미만 정기 예·적금, 수익증권, 양도성예금증서(CD) 등이 포함된다.


금융상품별로는 정기예적금과 금전신탁이 전월 대비 각각 8조5000억원, 4조9000억원 늘었지만, 시장형상품은 3조5000억원, 금융채 2조7000억원 감소했다.


통화량

▲2월 통화량이 전월 대비 25조7000억원 늘었다. 기준금리 하락 전망으로 예금자들이 선제적으로 자금 예치에 나서면서 2월 정기예적금이 8조5000억원 불어난 영향이다.

정기예적금은 금리 하락 전망에 따른 예금자들의 선제적인 자금 예치 수요가 몰리며 늘었고, 금전신탁은 정기예금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발행자금 유입 확대 등으로 증가했다. 시장형상품과 금융채는 예금취급 기관들의 예적금 중심의 자금조달 등으로 감소했다.




주체별로는 가계 및 비영리단체가 정기예적금, 기타수익증권을 중심으로 전월 대비 3조6000억원 늘었다. 기업과 기타금융기관도 각각 4조원, 17조1000억원 증가한 반면 기타부문은 1조7000억원 감소했다.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만 포함하는 협의통화(M1) 평잔은 1282조1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4조5000억원(0.4%) 늘었다. 현금통화와 요구불예금 등을 중심으로 증가했다.


금융기관유동성은 5757조6000억원으로 전월 대비 0.8% 늘었다. 광의유동성은 7208조원으로 전월 말 대비 0.5% 증가했다.



배너